우리는 1987년 12월 16일 대통령 선거와 1988년 4.26총선을 통하여
지역감정의 폭발적 확산과 표출이, 특히 1987년 6월항쟁 이래의 민족
민주운동의 진로에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목도하게
된다.그러나 지역감정이 민주변혁 과정에 미친 엄청난 결과에도 불구
하고 이 문제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해명이 매우 부족하다는
생각을 가진다.제도언론에 의한 이데올로기 교육의 영향권의 핵심에
위치하는 지식인 또는 식자층은 그렇다치더라도 민중운동의 활동가들
에게서조차 이 문제에 대한 이해의 부족이나 혼란을 자주 발견하게 되
는데,그것은 부분적으로 사회변화에 접근하는 인식틀과도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