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NGS를 이용한 돼지장내미생물 분석 논문형식 (캡스톤 A+받은자료)

Kahraman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7.08
최종 저작일
2020.05
2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8,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NGS를 이용한 돼지장내미생물 분석 논문형식 (캡스톤 A+받은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실험대상
2. DNA 추출
3. 16S rRNA 유전자의 RCP 증폭 및 Illumina MiSeq 분석
4. Bioinformatic analysis

III. 결과
1. Genomic DNA 농도
2. Genomic DNA 전기영동
3. Alpha analysis
4. 장내 미생물 군집
4.1. 미생물 분포도
4.2. butyrate-producing bacteria
4.3. Potential pathogen bacteria
4.4. Lactic acid bacteria
4.5. Other probiotic bacteria

II. 고찰

IV.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본문내용

인간과 동물들의 기관과 조직에는 함께 살아온 미생물들이 있다. 특히 소화관 점막에는 가장 많은 미생물이 존재하고 이를 장내 미생물 군집(gut microbiota)이라고 한다. 장내 미생물은 동물의 건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과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비만에서 장내 미생물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Firmicutes 및 Bacteroidetes의 상대적 비율이 에너지 항상성에서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건강한 미생물 군집의 기능은 아직 질적으로, 양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아 동물의 건강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혐기성 장내 미생물에 의한 식이섬유 발효의 최종 산물인 SCFA (short-chain fatty acid)는 포유류 에너지 대사에 여러 가지 유익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장내 장벽 기능, 포도당 항상성, 면역 조절, 식욕 조절 및 비만과 관련된 다양한 조직 특이적 작용을 통해 숙주 건강을 직접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장내의 SCFA는 acetate:propionate:butyrate의 분자량적 비율(molar proportion)이 3:1:1을 이루고 있다. 이들은 장 상피 장벽 기능을 촉진하고 숙주 점막 면역 시스템을 조절한다.
butyrate를 생성할 수 있는 미생물은 주로 그람 양성 혐기성 미생물 중 널리 분포되어 있고 Faecalibacterium prausnitzii와 Roseburia spp 등이 있다. Firmicutes인 F. prausnitzii와 E. rectale는 건강한 장내 미생물 군집에서 가장 많은 숫자로 나타난다. 이 균들은 서로 다른 생태학적 환경을 갖는다. 이와 같이 균에 따라 생태계가 다른 이유는 장내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butyrate 생성이라는 중요한 대사 과정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진화된 결과라고 추정된다.

참고 자료

Eckburg, P. B., Bik, E. M., Bernstein, C. N., Purdom, E., Dethlefsen, L., Sargent, M., ... & Relman, D. A. (2005). Diversity of the human intestinal microbial flora. science, 308(5728), 1635-1638.
Kim, H. B., & Isaacson, R. E. (2015). The pig gut microbial diversity: understanding the pig gut microbial ecology through the next generation high throughput sequencing. Veterinary microbiology, 177(3-4), 242-251.reserved.
Fouhse, J. M., Zijlstra, R. T., & Willing, B. P. (2016). The role of gut microbiota in the health and disease of pigs. Animal Frontiers, 6(3), 30-36.
Tennyson, C. A., & Friedman, G. (2008). Microecology, obesity, and probiotics. Current Opinion in Endocrinology, Diabetes and Obesity, 15(5), 422-427.
den Besten, G., van Eunen, K., Groen, A. K., Venema, K., Reijngoud, D. J., & Bakker, B. M. (2013). The role of short-chain fatty acids in the interplay between diet, gut microbiota, and host energy metabolism. Journal of lipid research, 54(9), 2325-2340.
Chambers, E. S., Preston, T., Frost, G., & Morrison, D. J. (2018). Role of gut microbiota-generated short-chain fatty acids in metabolic and cardiovascular health. Current nutrition reports, 7(4), 198-206.
Zoetendal, E. G., Raes, J., Van Den Bogert, B., Arumugam, M., Booijink, C. C., Troost, F. J., ... & Kleerebezem, M. (2012). The human small intestinal microbiota is driven by rapid uptake and conversion of simple carbohydrates. The ISME journal, 6(7), 1415-1426.
Walker, A. W., Ince, J., Duncan, S. H., Webster, L. M., Holtrop, G., Ze, X., ... & Louis, P. (2011). Dominant and diet-responsive groups of bacteria within the human colonic microbiota. The ISME journal, 5(2), 220-230.
Kwon, S. I. (2012).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A Key Tool to open the Personalized Medicine Era.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44(4), 167-177.
손경목, 고관수, 김정, 이지영, 오원섭, 백경란, & 송재훈. (2006).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에서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Gemella 동정 2 예. 대한내과학회지, 70(5), 591-596.
García-López, R., Cornejo-Granados, F., Lopez-Zavala, A. A., Sánchez-López, F., Cota-Huízar, A., Sotelo-Mundo, R. R., ... & Ochoa-Leyva, A. (2020). Doing More with Less: A Comparison of 16S Hypervariable Regions in Search of Defining the Shrimp Microbiota. Microorganisms, 8(1), 134.
Claesson, M. J., Wang, Q., O'Sullivan, O., Greene-Diniz, R., Cole, J. R., Ross, R. P., & O'Toole, P. W. (2010). Comparison of two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ies for resolving highly complex microbiota composition using tandem variable 16S rRNA gene regions. Nucleic acids research, 38(22), e200-e200.
Tremaroli, V., & Bäckhed, F. (2012). Functional interactions between the gut microbiota and host metabolism. Nature, 489(7415), 242-249.
Guo, X., Xia, X., Tang, R., Zhou, J., Zhao, H., & Wang, K. (2008). Development of a real‐time PCR method for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in faeces and its application to quantify intestinal population of obese and lean pigs. Letters in applied microbiology, 47(5), 367-373.
Ley RE, Bäckhed F, Turnbaugh P, Lozupone CA,Knight RD, Gordon JI. Obesity alters gut microbial ecology. Proc Natl Acad Sci USA 2005; 102:11070- 11075.
Ley RE, Turnbaugh PJ, Klein S, Gordon JI. Microbial ecology: human gut microbes associated with obesity. Nature 2006
Round, J. L., & Mazmanian, S. K. (2009). The gut microbiota shapes intestinal immune responses during health and disease. Nature reviews immunology, 9(5), 313-323.
Fouhse, J. M., Zijlstra, R. T., & Willing, B. P. (2016). The role of gut microbiota in the health and disease of pigs. Animal Frontiers, 6(3), 30-36.
Giacometti, F., Lucchi, A., Di Francesco, A., Delogu, M., Grilli, E., Guarniero, I., ... & Serraino, A. (2015). Arcobacter butzleri, Arcobacter cryaerophilus, and Arcobacter skirrowii circulation in a dairy farm and sources of milk contamination. Appl. Environ. Microbiol., 81(15), 5055-5063.
고윤웅, 채응석, 한지숙, 문언, 김경석, 장동익, & 이동화. (1975). 증례: Neisseria Perflava 로 인한 급성뇌막염, 패혈증및 악급성심내막염 1 예 (Case Report: A Case of Acute Meningitis, Septicemia, and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Caused by Neisseria perflav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18(3), 243-250.
Lévesque, S., Lemay, F., Bekal, S., Frost, E. H., & Michaud, S. (2016). First reported case of Campylobacter lanienae enteritis in a human. JMM case reports, 3(3).
Jacobsen, S. M., Stickler, D. J., Mobley, H. L. T., & Shirtliff, M. E. (2008). Complicated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due to Escherichia coli and Proteus mirabilis.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21(1), 26-59.
Zhou, Y. H., Ma, H. X., Dong, Z. Y., & Shen, M. H. (2018). Comamonas kerstersii bacteremia in a patient with acute perforated appendicitis: A rare case report. Medicine, 97(13).
Bogaert, D., de Groot, R., & Hermans, P. W. M. (2004). Streptococcus pneumoniae
colonisation: the key to pneumococcal disease.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4(3), 144-154.
Scher, J. U., Sczesnak, A., Longman, R. S., & Segata, N. (2013). Ubeda c, Bielski c, Rostron T, Cerundolo V, Pamer EG, Abramson SB, et al: Expansion of intestinal Prevotella copri correlates with enhanced susceptibility to arthritis. ELife, 2, e01202.
Hill, C., Guarner, F., Reid, G., Gibson, G. R., Merenstein, D. J., Pot, B., ... & Calder, P. C. (2014). Expert consensus document: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Association for Probiotics and Prebiotics consensus statement on the scope and appropriate use of the term probiotic.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11(8), 506-514.
김지현, & 한성호. (2008). Probiotics 의 임상적 효능과 활용. 가정의학회지, 29(7), 464-474.
Louis, P., & Flint, H. J. (2017). Formation of propionate and butyrate by the human colonic microbiota. Environmental microbiology, 19(1), 29-41.
Lawson, P. A., & Finegold, S. M. (2015). Reclassification of Ruminococcus obeum as Blautiaobeum comb. nov.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65(3), 789-793.
Zámocký, M., Godočíková, J., Koller, F., & Polek, B. (2001). Potential application of catalase-peroxidase from Comamonas terrigena N3H in the biodegrad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tonie van Leeuwenhoek, 79(2), 109-117.
Kahraman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NGS를 이용한 돼지장내미생물 분석 논문형식 (캡스톤 A+받은자료)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