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의 인식비교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4.17
최종 저작일
2016.01
2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수록지정보 : 교육연구 / 26권 / 3호
저자명 : 이유나, 김혜윤, 김길숙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해서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의 인식비교를 통해 유
치원 교육현장과 예비교사들에게 교육용 앱의 긍정적인 가치를 수행하기 위해 어떤 과제가 수행되어야 하
는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C지역의 4년제 유아교육과 예비교사 225
명과 현장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용 앱 사용에 대한 인식과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한 실천방법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과 범주형 다중응답 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용 앱 사용에 대해서 예비교사보다 현장교사가 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으나 두 집단 모두, 대체적으로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있어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유아교육용 앱은 유아들의 학습 및 발달에 도움을
주고 자기주도적 하습과 집중도 유지 및 촉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교육용 앱을 효
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활동영역으로는 예술경험, 의사소통을, 수업영역에서는 이야기나누기와 음악
및 음률을, 수업유형으로는 평가형과 시뮬레이션형을 선호하였다. 반면에 유아교육용 앱 활용의 문제점으로
는 예비교사와 현장교사가 공통적으로 교사의 스마트 기기나 앱 등의 활용 기술부족과 유아의 수용능력,
스마트기기와 앱을 비롯한 스마트 교육 환경 미흡을 들고 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교과목이 운영되어, 유아교육용 앱
관련된 이론적 및 실천적인 다양한 지식이 보급될 수 있도록 하며, 현장교사들에게는 누리과정 영역별, 수
업활동별, 수업영역별 등에서 다양한 경험과 사례를 발굴하여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해서 효과적인 수업전략만 안내하기보다는 그것에 대한 유아교육의 특수성을 고려
한 부정적 효과에 대한 철저한 교육도 필요할 것이다. 셋째, 오감을 확장시키거나 학습분석학을 기반으로
한 유아교육용 앱 개발에 관련된 검증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
용 앱이 효과적으로 교육적 상황에서 실행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 현장의 인식변화와 학부모들의 인식변화도 필요하므로, 다양한 정책적인 연구와 전파연수가 요구된다.

영어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kind of tasks should be carried ou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comparing percep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positive
value of educational app. Metho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use of apps and how to
practice practical appli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selected 225 pre-service and 78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survey. The study conducted t verification, the categorical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crosstab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re more positive than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 use of app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ever, both groups show that they
can use the app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pplications positively. Especially, it was perceived that the app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ill help children to learn and develop, and will help to maintain and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and concentration.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app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preferred art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as activity areas, story-telling and music and rhythm
in classroom, and evaluation type and simulation type as class.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have common problems in utilizing infant education apps, such as lack of technology of
teachers' smart devices or apps, lack of ability of infants, smart devices and ap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five conclusions. First, pre-service teachers will be provided with smart education related
courses so that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infant education app can be disseminated
and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find various experiences and examples in the area of Nuri
course, class activity, and class area to provide practical help. Second, thorough education about negative effects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ll be necessary rather than guiding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bout application of infant education app. Thir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arry out validation
studies on expanding the five senses or developing infant education apps based on learning analytics. Finally, in
order for app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educational context, it is necessary
to chang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change parents' perceptions through various policy
research, teacher training and so 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의 인식비교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