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행복과 치유 -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행복 개념을 중심으로 -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6.06.07
최종 저작일
2015.08
3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수록지정보 : 철학논집 / 42권
저자명 : 박병준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행복과 최고선
III. 행복과 인간의 본성
IV. 행복과 관조적 활동의 삶
V. 불운과 치유로서의 행복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철학실천에 따르면 철학의 본래 목적은 인간의 삶에 활력을 주고 도약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즉 철학은 인간의 영혼의 고통과 상처를 치유하는 실천적
지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행복에 대한 본고의 논의 역시 이런 철학적 관심에서
비롯된다. 행복이 삶에 활력을 주고 또 삶의 도약을 가능하게 한다면 철학실천의
관점에서 행복은 그 자체로 매우 훌륭한 치유의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인간은 스스로 행복하다고 생각할 때 건강한 삶을 살게 된다. 즉 행복은 인간을 치
유시킨다. 그렇다면 행복이란 무엇인가? 대표적인 행복 개념들 중에 단연 아리스토
텔레스의 목적론적 행복관이 있다. 행복의 객관적 기준을 검토함에 있어서 아리스
토텔레스의 주된 관심은 ‘완전한 행복’보다는 ‘참된 행복’,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
가에 있다. 행복은 그 개념상 본질적으로 완전하고 영원하며 지속적인 것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편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은 인간 본성론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인간의 본성적 기능을 만개시키는 것은 행복과 직결된다. 참된 행복은 지
성이 최고도로 발휘되는 순수 관조의 삶 안에 있다. 그런데 순수 관조가 ‘사유의
사유’인 신의 본질에 속한다는 점에서 순수 관조로서의 참된 행복은 유한한 인간과
는 무관한 것처럼 보인다. 유한한 인간에게 순수 관조는 다만 가능적이며 잠세적인
것일 뿐이다. 그러나 이는 결코 불완전한 행복으로 인해 인간이 근본적으로 행복할
수 없다거나 인간의 행복이 본질적으로 불완전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는 인간이 삶 안에서 끊임없이 행복을 실현해 가는 존재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영어 초록

In practical terms, the original purpose of philosophy is to contribute to the
vitality and direction to human life. That is, philosophy has the power of
practical wisdom that heals the pain and scars of a human being’s soul.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regarding happiness begins with such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From a practical philosophical viewpoint, if happiness is able to
give vitality and direction to the lives of human beings, it is, itself, a mode of
healing. Since people are able to live a healthy life only if they think they are
happy, happiness makes people well.
Then what is happiness? Among the various typical concepts of happiness,
Aristotle’s teleological view is core. For him, the objective standard of
happiness lies not in the question ‘What is complete happiness?’, but rather in
the question ‘What is true happiness?’ For true happiness, in its very nature,
must be conceptually and fundamentally complete, eternal, and continuous.
Aristotle’s Eudaimonism is closely connected to hi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In other words, the fulfillment of the nature of human beings is directly
connected to happiness. For Aristotle, true happiness lies in a life of pure
contemplation, that is, a life that displays intelligence to the highest degree.
However, the self-reflective power of pure contemplation as “thinking of
thinking”(noēseōs noēsis) belongs only to the nature of a deity. If happiness
lies in pure contemplation, it seems beyond the scope of limited human beings.
For human beings, pure contemplation is only potential, not actual. This does
not mean, however, that because human happiness is always imperfect a person
is unable to be happy or that a person’s happiness is fundamentally imperfect.
Rather, it means that a human being has by nature a mode of existence that
endlessly realizes happines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행복과 치유 -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행복 개념을 중심으로 -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