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의 경제 기말고사
- 최초 등록일
- 2021.10.09
- 최종 저작일
- 2020.09
- 6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목차
1. 시장구조를 상품의 특성과 경쟁자의 수를 기준으로 네 가지 경우로 분류하고, 각 시장별 특성을 설명하시오_교재 6장 및 해당 강의 참조(25점)
2. 시장실패를 설명하고, 그 원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하시오 교재 4장 및 해당 강의 참조(20점)
3. 경기변동의 강도를 완화시키는 경기조절정책에 대해 설명하시오_강의 13강을 우선 듣고 교재 11장 참고(25점)
본문내용
완전경쟁시장이란, <표1>과 같이 동일한 품질의 상품을 가지고 다수의 기업이 경쟁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완전경쟁시장에서는 소비자 뿐 아니라 생산자의 수가 많기에 시장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없는 것이 특징으로, 수요자와 생산자 모두 가격 수용자가 된다. 이때 완전경쟁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은 동질적이고, 수요자 및 생산자 모두 물건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시장 진입 장벽이 없어 언제든지 시장에 진입하거나 탈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반면, 또 다른 시장 구조 중 하나인 독점시장은 다수의 기업이 존재하는 완전경쟁시장과 달리 1개의 기업이 독점하여 상품을 제공하고, 공급자가 시장 지배력을 가지게 되는 특징이 있다. 독점시장에서의 기업은 다른 기업이 진입할 수 없는 진입 장벽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경쟁시장과 달리 스스로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가격결정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는 MS와 같은 기업이 윈도우 SW를 판매하지 않을 경우 대체 상품이 없어 가격을 올린다고 하더라도 소비자는 가격 수용자의 입장에 설 수 밖에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독점시장은 국가적 기간산업인 전력, 통신, 상하수도와 같은 초기 고정비용이 매우 큰 산업의 경우에 자주 나타나는 자연독점과 정부에 의해 허용된 독점, 긍정적 피드백을 바탕으로 한 수확체증 현상으로 시장이 선두기업에 의해 장악되어 독점시장의 형태를 띄는 3가지 경우가 있다. 시장구조의 세번째 유형인 불완전경쟁시장은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중간적 특성을 가지며, 다시 과점시장과 독점적 경쟁시장으로 나눌 수 있다.
참고 자료
이충기 외, 2019, “생활 속의 경제”, KNOU PRESS
KDI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