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진료직, 보건직 공무원 공중보건 요약
- 최초 등록일
- 2019.08.23
- 최종 저작일
- 2019.08
- 6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0원

소개글
2019년 보건진료직 공무원 합격자입니다.
보건직 준비하시는 분들에게도 공중보건은 공통이기때문에 상관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세로 보다는 가로 형식으로 가독성 좋게 요약했습니다.
공중보건의 방대한 내용을 다 외우려고 하면 망하는 지름길이고
필요한 것만 취하고 지엽적인 것은 버리는게 좋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고대기(~500년) ★
바빌로니아-함무라비 법전:최초의 법전(공중보건을 담은)
이집트-빗물을 모아 급수와 하수 처리
- Herodotus(헤로도토스):이집트인들의 개인위생에 대해서 기술
- 파피루스(의학사전):질병의 원인, 증상, 처방 기재 -Imhotep(임호텝):최초의 내과의사
그리스
-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장기설, 4체액설을 주장함.
장기설: 감염설과는 달리 질병 전파의 원인을 인간의 생활환경으로 봄. “질병의 원인은 환경이며, 병을 낫게 하는 것은 자연이다” ->시든햄 계승
4체액설: 히포크라테스는 혈액, 황담즙, 점액, 흑담즙이 조화를 이룰 때 건강, 조화가 깨졌을 경우 질병 발생
고대 로마 시대
: 수로, 배수시설, 중앙난방체계, 마사지와 목욕 발달함, 공중탕, 개인 목욕탕이 세워짐.
- 갈렌(Galen): 그리스 출신의 로마의사, 해부학을 발전시킴, 히포크라테스의 장기설을 계승. 위생학(hygiene)용어 처음으로 사용.
▣ 중세기=암흑기(~1500년) ★★
대부분의 위생문제나 보건사업은 종교활동의 일환으로 취급되었고, 질병이란 자신이 저지른 죄에 대한 벌이며, 악마나 마법에 걸렸을 때에도 질병이 생긴다고 보았다.
- 6~7세기: 콜레라
- 13세기: 나병(한센병)
- 14세기: 흑사병(페스트): 페스트 유행으로 모든 여행자와 선박에 대해 40일 간 격리함. 1383년 프랑스 마르세유에서는 검역법에 의해 최초로 검역소 설치
- 15~16세기: 매독과 결핵 유행
▣ 여명기=르네상스 시대=요람기=태동기=근세기(~1850년) ★★★ 암기tip: 베시그레라, 린국프, 피베, 제채
산업 혁명으로 공중보건의 사상이 싹튼 시기, 개인위생이 공중위생으로 바뀌게 되는 시기 국민의 복지를 국가적 관심사로 받아들이게 된 시기
▣ 확립기=근대기(~1900년) ★★★ 암기tip: 파스라페, 한파코비
보건의료의 확립기, 방문간호사업의 시작, 예방백신이 개발된 시기->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