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심혈관계
1) 심혈관계의 노화관련 변화와 사정
(1) 심혈관계 노화관련 변화
- 심근의 비대 : 대동맥 경직도의 증가로 인한 후부하의 증가, 심근세포의 신전에 의한 것으로 생각
- 심근의 탄력성이 감소, 심장박출량이 감소
- 혈관의 탄력성 감소와 판막의 석회화 발생
- 대동맥과 같은 큰 혈관의 경직도가 증가하여 좌심실의 후부하가 증가
- 심혈관을 직접적으로 일으키지 않는다 해도 심혈관 질환의 역치를 감소시키고 질환의 중증도를 증가시키는 데 영향
(2) 사정
- 주호소 기록
- 병원입원경험, 수술경험, 현재복용약물을 포함한 과거력을 사정, 심혈관계 가족력도 확인
- 시진, 촉진, 타진, 청진을 통해 간호문제를 확인한다.
2) 노년기 심혈관계의 흔한 질병
(1) 고혈압
-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
- 고혈압을 악화시키는 요인 : 고지혈증, 당뇨, 흡연
- 정기적인 혈압체크 필요 : 1일 2회, 소변을 본 후 아정된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다.
-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약물은 이뇨제, 베타차단제, 칼슘통로 차단제, 앤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등
(2) 울혈성 심부전
- 인체가 휴식이나 운동할 때 필요한 대사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심장이 충분한 혈액을 박출해내지 못하는 상태
- 65세 이상의 노인에게서 많이 나타남.
- 연령,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부정맥, 신질환,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수면호흡장애, 알부민뇨, 빈혈, 불법 약물의 사용, 좌식생활양식, 정서적 스트레스, 생물학적/사회경제적 생활양식
- 증상 : 운동성 호흡곤란, 혼돈, 불면증, 밤 동안 배회, 초초, 우울, 식욕부진, 오심, 허약감, 피로(우심부전 시 심함), 호흡곤란, 좌위호흡, 천명, 체중증가, 양측성 발목 부종, 청진 시 습성 수포음
- 간호중재 : 심음과 폐음 사정 / 급성기에는 침상안정, 침상머리 상승,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여부를 관찰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