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이종간 장기이식의 당위성과 현재 직면하고 있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고찰

*기*
최초 등록일
2009.01.15
최종 저작일
2009.01
2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이종간 장기이식에 관한 졸업논문입니다.
한학기동안 매달려서 작성한 자료입니다.
모두 ncbi에서 영문논문 다운로드받아서 직접 번역했습니다.
다른 자료들과 겹칠 가능성은 zero입니다.
A+을 받은 졸업논문입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현재 이종장간 장기이식이 직면한 과학적인 문제점들
3-1. 생리적 문제점(physiological problem)
2-2. 면역반응(immune reaction)
3-3. 각종질병(xenozoonoses)

4. 이종간 장기이식의 장점(그럼에도 왜 이종간 장기이식을 해야 하는가?)
4-1. 국가차원의 차세대 성장 동력(국가적 차원)
4-2. 경제적 측면에서의 고찰(환자입장)
4-3. 동종간 장기공여자의 절대적인 부족현상
4-4. Bridge역할
4-5. 인간장기 시장의 불법거래 근절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

5. 이종장기이식에서 해결해야 할 사회 윤리적 문제점들
5-1. 윤리적 문제점(Ethical barriers)
5-2. 동물의 Genetic modification(animal right)
5-3. 동물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했을 경우 정체성(Psychological)
5-4. 사회적 문제점(Social barriers)
5-5. 종교적 문제점(Religious barriers)

6. 사회 윤리적 문제에 관한 해결책
6-1. 가이드라인 확립을 통한 제도적 장치 마련
6-2. 이종간 장기이식에 사용될 동물에 대한 가이드라인
6-3. 이종간 장기이식 이후 동물에 관한 가이드라인
6-4. 이종간 장기이식을 위한 실험에서 사용되어야 할 가이드라인
6-5. 이종간 장기이식 이전 수혜자에 관한 가이드라인
6-6. 이종간 장기이식 후 수혜자에 관한 가이드라인

7. Discussions

8. References

본문내용

인간의 신체는 여러 장기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각각의 장기들은 우리의 몸속에서 자기가 맡은 일을 하며 인간의 Metabolism을 원활하게 수행한다. 만약에 하나의 장기에 큰 손상을 입게 된다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장기들과는 상관없이 그 개체는 생을 마감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장기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외과적인 방법 중에는 수술이나 이식이 있다. 그러나 장기의 손상이 심할 경우에는 장기이식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장기이식에는 크게 Allograft(동종간 장기이식) Xenotransplantation(이종간 장기이식) 이렇게 두 개로 나눠진다. 먼저 현재 활발하게 시술되어지고 있는 동종간 장기이식은 장기이식 중에서 가장 안정성이 높은 시술이지만 장기공여자(donor organ)의 부족으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장기이식을 기다리다 죽고 마는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문제점으로서, 예를 들어 미국에서 한해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의 수는 6만 5천명으로 추정되며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의 수는 장기기증의 부족으로 매년 10-15%씩 증가하고 있다[1]. 이는 우리나라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는데, 우리의 경우 연간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사람의 수는 2000년도에 (kidney+liver)를 포함해서 3,730명에서 2005년에는 7,751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2]. 증가하는 동종간 장기공여자의 부족현상으로 인해서 사채장기이식, 장기밀매매등이 암암리에 행해지고 있고, 또한 중국에서 사형을 앞둔 사형수의 장기를 이식받는 방법으로 장기를 구하는 극단적인 방법 또한 성행되고 있다[19].
이처럼 시간이 갈수록 장기이식을 기다리며 죽을 날만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시점에서 이종간 장기이식만이 동종간 장기이식의 극심한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 되어진다. 이종간 장기이식이란 서로 다른 종족 간에 살아있는 세포나 조직, 그리고 장기를 ex vivo 상태에서 이식을 하는 것으로서 현재 인간 장기공여자의 부족현상을 동물의 장기에 molecular engineering 과 donor organ을 modification 함으로써 극복하려고 실험 중에 있다. 동물을 이용해서 사람을 치료하려는 시도를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1667년에 France Paris에서 양의 피를 사람에게 Xenotransfusion한 것이 첫 번째로 기록되어 있고[8], 최초의 이종간 장기이식의 경우 1501년 The Quintessence of Experience의 report에 실린 자료에 의하면

참고 자료

1. Alix Fano. 2002. Draft Guidelines for Clinical Xenotransplant Research
2. Amy Otchet. ANIMALTRANSPLANTS : SAFE OR SORRY ?. The UNESCO Courier 37 E T H I C S. 2000.3
3. A.S. Daar. 2003. Xenotransplantation: Recent Scientific Developments and Continuing Ethical Discourse. Transplantation Proceedings, 35, 2821ꠓ2822 (2003)
4. Biologics and Genetic Therapies Directorate. 2001. Health Canada, "Revised Fact Sheet on Xenotransplantation"(2001) [http://www.hc-sc.gc.ca/dhp-mps/brgtherap/activit/fs-fi/xeno_fact-fait_e.html].
5. Council of Europe. 1999. Assembly calls for more information on benefits and risks of animal transplants.
http://xenotransplantation.org/organtrans/news/19990129.htm
6. Cristina Costa. 2002. Transgenic pigs designed to express human CD59 and H-transferase to avoid humoral xenograft rejection. XENOTRANSPLANTATION ISSN 0908-665X
7. David K c Cooper. 2003. Clinical xenotransplantation-how close are we? THE LANCET Vol 362. 2003;36:557-59
8. Denis J-B. Lettre escrite a` M. Montmor touchant unenouvelle manie` re de gue´ rir plusieurs maladies par latransfusion du sang, confirme´ e par deux expe´ riencesfaites sur des hommes [Letter to Mr Montmor on a newmethod for treating several diseases through bloodtransfusion, as validated by two experiments on humans],1667.
9. Elgood C. Safavid surgery, In Analecta Medicao-Historica. Oxford: Pergamon Press, 1966.
10. Gold, E Richard, Adams, Wendy A. 2002. Reconciling private benefit and public risk in biotechnology: xenotransplantation as a case study in consent
Health Law Journal. Edmonton: 2002. Vol.10 pg. 31
11. Jeffrey L. Platt. 1999. Prospects for xenotransplantation. Pediatric Transplantation 1999: 3: 193-200
12. Jeong Ryul Lee, M.D. The Problems of Transplanting Animal Organs into Humans. Pediatric Cardia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6. Ji Yeon Kim, M.S. 2004. A Xenoreactive Complement Hemolytic Assay in Xenotransplantation. Korean J Lab Med 2004; 24: 415-20
17. JOHN TRAVIS. 1995. The Xeno-Solution : Perils and promise of transplanting animal organs into people. November 4, 1995 Vol. 148 No. 19 p. 298
18. M. MICHAEL SWINDLE. 1998. Defining Appropriate Health Status and Management Programs for Specific-Pathogen-Free Swine for Xenotransplantation. ANNALS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11-120;
19. M anderson. Xenotransplantation: a bioethical evaluation , J Med Ethics 2006;32;205-208. doi: 10.1136/ime.2005.01.012914
20. Normile D, Enserink M. 2003. SARS in China. Tracking the roots of a killer. science 301; 297
21. Pascal Bucher, Philippe Morel and Leo H.Buhler. Xenotransplantation: an update on recent progress and future perspectives, Transplant international ISSN 0934-0874, 2005
22. Peta S. Cook. 2005. Xenotourism and Xenotravel: Some notes on global regulation. Paper presented to the Social Change in the 21st Century Conference. 28 October 2005
23. SAMS. Medical-Ethical Principles on Xenotransplantation. Swiss Academy of Medical Sciences
24. Tuan T. Lam. 2004. Anti-non-Gal porcine endothelial cell antibodies in acute humoral xenograft rejection of hDAF-transgenic porcine hearts in cynomolgus monkeys. Xenotransplantation 2004: 11: 531–535.
25. Vasudevan Mani, Ryan Mathew. Xenotransplantation: Animal Rights and Human Wrongs, Ethics & Medicine; Spring 2003;19,1; Academic Research Library
26. V. Specke . 2002. Virus safety in xenotransplantation: first exploratory in vivo studies in small laboratory animals and non-human primates. Transplant Immunology 9 (2002) 281–288
38. 98 생명`의료기술개발 동향 pp423,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10. 구인회. 2004. 이종이식의 의학윤리학적 제문제, Korean J Med Ethics Edu 7(1) June ISSN1225-505X
36.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http://www.konos.go.kr/menu5/sub_01.asp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35. 농림부 공보관실. 2004.06.01 15:35:00 농업기술지원과 김종구 사무관
33. 문성제. 2007. 우리나라 장기이식의 현황과 법률문제. 외법논집 제24집 (2006. 11)147-172
12. 서상희. 독감바이러스 대유행?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 제16권 3호 2004년 9월 25-29
1. 이준헌, 이종간 장기이식의 연구동향
2. 이준헌, 한국의 장기이식현황
30. 이창규. 2004. 바이오이종장기 생산 및 관리기술개발 동향. 보건산업기술동향 [R&D]동향 33-45
44. 박상은. 2004. 호스피스와 생명윤리 . http://www.sangeun.co.kr/CounselList.asp?Im
od=Read&Num=29&Page=16&Div=&Key=
40. 진교훈. 「장기이식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학술대회에 즈음하여
37. 바이오 인공장기의 시장동향 및 전망. http://bric.postech.ac.kr/trend/biostat/2003/20031210_1.pdf
34. 한용만. 2004. 바이오 장기 산업의 현황과 전망. 산기협 기술과 경영
39. 홍석영. 이종간 장기이식에 대한 인간학적, 윤리학적 숙고.
45. 한국생명윤리협회. 심포지움(2002-06-15)
46. 황경식. 장기이식의 윤리적 기초
*기*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이종간 장기이식의 당위성과 현재 직면하고 있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고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