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유아교육과]2007우수논문-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자유선택활동의 의미

*신*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8.02.15
최종 저작일
2007.12
3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2007우수논문-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자유선택활동의 의미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문헌고찰
1. 자유선택활동의 개념 및 교육적 의의
2. 능동적 학습자로서의 유아
3. 유아의 흥미와 자유선택활동
1) 흥미
2) 요구(need)
4.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유아의 이해
1) 교사
2) 자유놀이와 자유놀이가 아닌(일)것의 개념 틀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1) ★어린이집 선정과정
2) ★어린이집 시냇물반의 환경
3) ★어린이집 시냇물반 교사와 유아
4) 자유선택활동 운영
2. 연구방법
1) 참여관찰
2) 교사, 유아와의 면담
3) 자료수집

Ⅳ. 연구결과
1. 종일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의미
2. 자유선택활동에서 교사의 개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Ⅴ. 논의 및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 교육 과정의 지배적인 이론인 발달론적 접근에서는 아동중심 교육을 강조한다. 아동중심 교육은 교육이 기술적으로 흐르는 것을 막고, 인간 개개인을 존중하고 지원하는 교육 모형을 제공(Cannella, 2002)하려는 데서 출발한 것이다. 아동중심 교육이라는 개념은 유아교육이라는 학문과 역사를 함께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오랜 기간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으며(전제아, 권희경, 김원경, 2002), 유아교육현장에서도 선호 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아동중심 교육은 유아교육에서 너무도 폭넓게 지지를 받은 나머지 실제로 무엇이 아동중심 교육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면밀한 검토는 미흡한 상황이며, 거의 모든 유아교육이론과 프로그램, 교수법에서 이 용어가 남용되고 있다(정선아,2000).
정선아(2000)는 아동중심 교육의 개념을 유아의 흥미를 중심으로 한 학습의 내용을 결정하는데 있어 유아의 능동적인 참여(Cuban, 1993; Zimiles, 1987), 유아의 발달단계의 중요성(Deusen, 1991), 유아 개인의 잠재력 발달(DeVries & Kohlberg, 1987; Prawat, 1992), 발달 순응적 교육(곽노의, 1996; 이대균, 1997; 최양미,1997), 유아가 주도하는 교육(김규수, 1997; 이대균, 1997)을 포함 한다는 공통점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즉 아동중심 교육은 교육 활동에서 유아가 주도권을 갖고 교사는 유아의 흥미와 요구를 파악하여 유아 개개인의 발달에 맞게 교육 내용을 구성하며, 이에 따라 유아가 반응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유아교육기관은 유아 개인의 흥미․요구를 존중하는 아동중심 교육을 실시하여 유아의 자유의지를 강조 하여 왔고, 아동중심 교육을 실천하기 위하여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운영하고 있다(양옥승, 2004). 자유선택활동은 교사가 통제 하거나 지시하는 프로그램과는 구별되는 것으로써 유아 자신의 선택과 결정에 따라 유아가 자유롭게 놀이를 하도록 자유가 주어지는 것이며, 유아가 한 가지 혹은 여러 가지 놀이를 선택하여 즐기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자료

김규수 (1997). 아동중심교육의 개념적 고찰: DAP에 대한 견해. 열린유아교육연구, 2(2), 49-68.
김수정 (2002).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역할 및 갈등 요인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나은숙 (2002).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주의적 관점에서의 자유놀이: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5). 유아에게 자유선택활동이 지니는 의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8). 교육학대백과사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손영수 (2001). 유아생활세계에서의 놀이와 사고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4(1), 103-132.
신은미 (2005).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힘/지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양옥승 (2000a). 유아교육학 탐구. 서울: 학지사.
(2000b). 재개념론적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과정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2, 139-170.
(2002).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유치원의 자놀이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연구, 20(1), 53-73.
(2004). 유아 때부터 시작하는 자유선택교육. 서울: 학지사.
(2005). 아동중심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유아교육연구, 25(2), 103-117.
양옥승, 나은숙 (2005). 물리적 환경구성과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에 관한 질적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21-40.
양은주 (2003). 듀이의 흥미개념과 학생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연구, 21(1), 179-202.
유혜령 (1997). 현대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의 이해의 문제. 아동교육, 6(1), 96-110.
(1998).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8(1), 131-151.
(2001). 유아의 역할놀이 경험양식과 그 교육적 의미: 현상학적 이해. 유아교육연구. 21(3), 55-79.
이경화, 이현옥 (1998).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의 실제 교수행위분석. 성결대학교 교수논문집, 27, 217-231.
이대균 (1997). 아동중심 교육철학에 기초한 세 가지 교수방법의 비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2), 69-88.
이숙재 (1992). 아동의 관점에서 본 놀이개념.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 연구소. 교육연구, 27, 31-41.
(2002).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개정판). 서울: 창지사.
이영자, 이기숙, 이정옥 (1999). 유아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1995).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이정란 (2004). 어린이집에서의 교사의 힘에 의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199-221
임성해, 손영수 (2001). 유치원에서의 유아생활세계의 긴장과 갈등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유아교육연구, 2(2), 85-109
전경아 (2003).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정현 (2003).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실태 비교.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제아, 권희경, 김원경 (2002). 구성주의에 나타난 아동중신교육의 개념분석. 열린유아교육교육연구, 6(4), 1-17
정선아 (2004). 교사들이 구성하는 아동중신교육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24(4), 305-329
(2000). 아동중심의 의미를 벗기며: 의미의 역사. 한국유아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황유미 (1993). 유아 흥미영역에 따른 자유놀이 내용과 환경구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Aronowitz, S., & Giroux, H. A. (1993). Education Still Under Siege, 2nd ed. Westport, CN: Bergin & Garvey.
Ayers, W. (1990). Small heroes: In and out of school with 10-year-old city kids.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20(3), 269-278.
Bayer, L. E., & Bloch, M. (1996). Theory: An analysis(pat 1). In S. Reifel(Ed.), Advance in early education and day care(Vol. 8, pp. 3-40). Greenwich, CT: JAL Press.
Burbules, N. C., & Tprres, C. A. (2000). Globalization and education: critical perspectives. New York: Routledge.
Burman, E. (1994). Deconstructing developmental psychology. New York : Routledge.
Cannella, G. S. (2002).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ocial justice and revolution. (유혜령 역). 서울: 창지사. (원전은 1997년에 출판)
Cooney, M. H., Gupton, P., & O`Laughlin, M. (2000). Blurring the lines of play and work to create blended classroom learning experi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7(3), 165-171
Cornel, M. H. (1995). 교육철학 탐구❲Philosopical Issues in Education: Anntroduction❳. (김기수, 조무남 공역). 교육과학사(원전은 1989년에 출판).
Cuban, L. (1993). How teachers taught: Consistency and change in American classrooms 1880-1990(2nd ed.). New York: Teacher College Record.
Deusen, J. V. (1991). More food for thought, community schools: A vision of equity and excellence for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6(5), 58-60
DeVries, R., & Kohlberg, L. (1987). Constructivist early education: Overview and comparison with other program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Dewey, J. (2002). 아동과 교육과정(박철홍 역). 문음사. (원전은 1983년에 출판)
Grumet, M. (1976). Existential and phenomenological foundations. In W. Pinar & M. Grumet, Toward a poor curriculum(31-50). Dubuque, IA: Kendall/Hunt.
Hall, G, S. (1901). Ideal school as based on child study. Journal of Proceedihg and Addresses of the Fortieth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474-488.
Huber, J., Whelan, K. K., & Clandinin, D. J. (2003). Children narrative identity-making: becoming intentional about negotiating classroom space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3), 303-318
Karrby, G. (1990). Children`s conceptions of their own pla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58, 81-85.
Kessler, S. (1991). Aiternative perspectiv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2), 183-197
Langeveld, M. J. (1983). The Stillness of the Secret Place. Phenomenolo edagogy, 1(1), 11-17
Leavitt, R. L. (1994). Power and emotion in infant-toddler day car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Levering, B. (2000). Disappointment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2(1), 65-74
Macdonald, D. (2003). Curriculum change and the post-modern world: is the school curriculum-reform movement an anachronism?.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2), 139-149
McLaren, P. & Farahmandpur, R. (2000). Reconsidering Marx in post-marxist times: A requiem for postmodernism? Educational Researcher, 29(3), 25-33.
Miller, J. L. (1990). Creating space and finding voices: Teachers collaborating for empowerment.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NAEYC (1987). Child Choice Another Way To Individualize Another Form of Preventive Discipline. Young Children, 43(1), 48-54
Petersen, E. A. (1997). Free-Choice Time is a Must. Children and Families, 16(3), 10-12
Pinar, W. F., Reynolds, W. M., Slattery, P., & Taubman, P. M. (2001). 교육과 정담론의 새지평❲Understanding curriculum: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curriculum discourses❳.(김복 외 역). 서울 : 원미사. (원전은 1995에 출판)
Prout, A., & James, A. (1990). `A new paradigm for the sociology of childhood?`, in A. James and A. Prout (eds), Constructing and Deconstructing childhood: Contemporary Issues in the Sociological Study of childhood, Brighton: Falmer Press.
Schofield (2000). 분석적 교육철학 ❲“The Concept `Child-centered`", The Philosophy of Education❳. (이명준 역). 서울: 원미사. (원전은 1972에 출판)
Silin, J.G. (1987).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knowledge base: A reconsideration. In L. G. Katz (Ed.), 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pp. 17-31). Norwood, NJ: Ablex.
Tanner, D., & Tanner, L. (1990). History of the school curriculum. New York:: Macmillan.
Tobin, J. (1995). Post structural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ng, L. A. (1995). Play is not the work of the child: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work and pla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 223-247
Zimilea, H. (1987). The Bank Street Approach. In J. L. Roopnarine & J. F. Johnson (Eds.),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163-178). Columbus, OH: Merrill Publishing Company
*신*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유아교육과]2007우수논문-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자유선택활동의 의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