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우수논문>집단미술치료가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상*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7.10.02
최종 저작일
2007.10
8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08년 2월 발표될 논문입니다.--참고문헌..원서포함..매우많음.ㅠㅠ...통계학의 권위자인 강 모교수임의 깐깐한 지도로...
할 수 없이 <우수논문>을 만들었습니다.////분량은---78쪽
<착한자료>월드비젼 해외아동결연에 사용됨.

특히 선행연구개관 ,논의 가 참고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2

Ⅱ. 이론적 배경 3
1. 집단 미술 치료 3
1) 미술치료의 개념 3
2) 미술치료의 개념적 모형 4
(1)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4
(2) 융 학파의 분석적 미술치료 5
(3) 현상학적 미술치료 모형 6
(4) 게슈탈트 미술치료 모형 7
(5) 인간중심 미술치료 모형 7
(6) 행동적 미술치료 모형 8
(7) 인지적 미술치료 모형 9
3) 집단미술치료 9
4) 미술치료의 목적 10
5) 미술치료 적용기법 11
(1) HTP 집-나무-사람검사 11
(2) 동적 가족화 11
(3) 9분할통합회화법 11
(4) LMT 풍경구성법 12
(5) 만다라 12
(6) 난화이야기법. 12
2. 자아존중감 13
1) 자아존중감의 개념 13
2) 청소년기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 14
3. 선행연구의 개관 14
4. 연구가설 18

Ⅲ. 연구방법 20
1. 연구의 대상 20
2. 실험설계 20
3. 측정도구 21
1) 자아존중감 척도 21
4. 연구절차 22
5.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23
1) 20회기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안 23
(1) 탐색: 자기이해 단계 23
(2) 통찰1: 대인관계 이해 단계 23
(3) 통찰2: 자아성장 단계 23
(4) 적용: 자기조절 단계 23
3) 회기별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24
6. 자료처리 방법 27

Ⅳ. 결과 및 해석 28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28
1)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검사 결과 차이 검증 28
2)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사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29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지속적인 효과 33
1)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추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3
2)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사후․추후 검사 총점의 변화 비교 35
3.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친 효과의 질적 분석 37
1) 실험집단의 HTP 사전․사후검사 차이 분석 37
2) 실험집단의 최종 소감문을 통한 개인별 반응 39
3)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결과 41

Ⅴ. 논의 44
Ⅵ. 요약 및 결론 48
1. 요약 48
2. 결론 49
참 고 문 헌 51
<보조자료 1> □자아존중감 검사지 56
<보조자료 2> □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57
ABSTRACT 76
표 목 차


<표Ⅲ-1> 연구 대상자의 성별 분포 20
<표Ⅲ-2> 실험 설계 20
<표Ⅲ-3> 자아존중감 척도의 문항구성과 내적일관성 신뢰도 22
<표Ⅲ-4> 연구의 진행 절차 22
<표Ⅲ-5> 회기별 미술치료 프로그램 24
<표Ⅳ-1>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검사 결과 차이 검증 29
<표Ⅳ-2>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사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29
<표Ⅳ-3>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사후-사전 검사 결과 차이 검증 30
<표Ⅳ-4> 통제집단의 사후-사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1
<표Ⅳ-5> 실험․통제집단의 사후-사전 검사 결과의 차이 검증 32
<표Ⅳ-6>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추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3
<표Ⅳ-7> 실험․통제 집단의 추후-사전 검사 결과의 차이 검증 34
<표Ⅳ-8> 실험․통제 집단의 사전․사후․추후 검사의 변화 비교 36
<표Ⅳ-9 > 실험집단의 HTP사전․사후검사의 변화 비교 37
<표Ⅳ-10> 실험집단의 최종 소감문을 통한 개인별 반응 39
<표Ⅳ-11> 최종 소감문에 나타난 개인별 반응의 유형별 분류 41
<표Ⅳ-12>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결과 41
<표Ⅳ-13> 프로그램 참여 희망도 42

본문내용

1.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실업계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집단미술치료를 받은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2. 집단미술치료를 받은 실험집단의 향상된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 태백에 소재한 H정보산업고등학교 1학년 두 학급의 학생 50명(실험집단 N=25, 통제집단 N=25)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질통제집단전후검사설계를 통해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후 전출 등의 문제로 통제집단에서 두 명의 학생이 탈락하여 실험집단 25명과 통제집단 2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김갑숙․이미옥․최선남․최외선(2006)의 ‘미술치료기법’에 소개된 미술치료기법들을 기본으로 본 연구자가 실험집단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주 1회 50분 동안 20회에 걸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사전, 추후-사전 점수의 평균을 t 검증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어려운 주관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HTP사전․사후검사와 실험 후 실시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보다 대체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향상된 자아존중감은 실험 후 30일이 지난 후에도 대체로 유의미하게 유지되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낮은 자아감의 문제를 안고 있었으며 실험 후에는 대부분 자아감이 향상됨으로 인해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검증 되었다.

**********************************************************
Ⅴ. 논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여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을 검증한 결과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한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대부분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평균은 처치 전보다 향상되었고(M=4.32) 통제집단의 평균은 낮아졌다(M=-1.82).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의 차를 t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5.086, p<.001).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을 보면 총체적 자아는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자아도 p<.05 수준에서, 학교 내 자아는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가정적 자아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과 같은 결과는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한 Appleton과 Valerie, Dykeman, Cass(1996), Omizo와 Michael(1989), 김은영(2004), 김행미(2005), 김동연․이성희(1997), 김혜경(2003), 전미향(1997)의 연구와 결과를 같이한다. 이들 연구는 대상이나 실험 방법, 실험 내용 및 기간은 차이가 있지만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을 보고하고 있다. 다만 일부 하위영역에서는 상반된 결과가 발견되는데 이는 실험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실험 외적인 문제가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상담자의 소양을 갖춘 연구자가 대상 집단의 성격 및 발달단계를 고려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가지고 진실하고 성실한 태도로 프로그램 적용에 임한다면 대상 집단의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을 지지한다.
그러나 가정적 자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서 하위가설 1-3은 기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를 통해 가정적 자아에서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한 기은정(2006), 박성환(2004) 등의 연구와 하부영역 내에서의 상반된 결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 것은 실험 대상학생들의 연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민경(2004), 정순옥(2005)은 실험집단의 연령에 따른 효과의 크기를 분석한 메타분석 연구에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연령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특히 가정적 자아에 대한 변인들이 대부분 오랜 기간을 두고 형성된 가정사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실험집단의 연령이 높을수록 영향을 주기 어려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고등학생으로 구성된 본 연구에서도 학교에서 실시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가정 내 자아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대체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은 본 연구의 HTP사전검사에서 발견된 바와 같이 학생들의 왜곡된 자아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려운 가정환경 속에서 성장하면서 반복된 좌절을 경험하고 또 최근 실업계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더욱 왜곡된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고 있던 상황에서 자신의 자발성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는 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접하면서 내면으로부터 치유가 일어난 결과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치유 효과는 미술치료가 우울, 불안 등 부정적 감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Doric-Henry(1997)의 연구의 지지를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낮은 자아존중감을 지니고 있는 실업계 고등학생들에게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참고 자료

강봉규(1992). 발달심리학. 서울: 정훈출판사.
곽영희(2002). 인지-행동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실업계 여고생의 우울, 역기증적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효정(2002).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향상을 위한 미술치료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이혼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구혜숙(1995). 학교적응과 비학문적 자아개념 및 학업성적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기덕외 2인(1993). 가족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특수교육.
권이종(1989). 교육사회학. 서울: 양서원.
기은정(2006).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갑숙․정미숙(1999). 학교 부적응 학생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6(2), 167-188.
김갑숙․이미옥․최선남․최외선(2006). 미술치료기법. 2006. 서울: 학지사.
김계현(2001). 상담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김동연(2000).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한국미술치료학회편. 대구: 동아문화사
김동연․최외선 편저(2002). 아동미술치료. 대구: 중문출판사
김동연․공마리아․최외선(2002). HTP와 K-HTP 심리진단법. 대구: 동아문화사.
김동연․공마리아(1998). 인물화 및 집․나무․사람 그림에 의한 심리진단법. 대구: 한국미술치료학회
김동연․이성희(1997). 결손가정 아동의 자긍심 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미술치료연구:4(1), 1-24.
김동연․이성희(1997). 결손가정 아동의 자긍심 강화를 위한 집단 미술치료.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 연구집 제 4 권 제 1 호, 1 - 24.
김미경(2004). 인터넷 중독 상담현장에서의 미술치료의 활용: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영(2000).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우울과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관(2000). 가출 소녀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숙(1995). 아동을 위한 상담이론과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김은영(2004). 집단미술치료가 이혼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숙(1999). 예술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표현예술심리치료협회
김행미(2005).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숙(2000). 실업계고등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집단상담의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경(2004). 만다라 그리기가 학습부진 중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화정(2002).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남정자(1991). 청소년 비행의 유형과 그 사회․심리적 관련 요인 분석.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류정자․최혜경(1998). 정서․행동 장애아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5(2), 19-342.
박근수(2003). 실업계 고등학교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민정(2002).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경북대학교대학원 가정학과 박사학위논문.
박성환(2004).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승숙(2000). 영화로 배우는 미술치료 이야기. 서울: 들녘.
백양희(1998). 청소년들의 자존감 향상 및 일탈행위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Vol.5 No.2.
송지원(1997). 청소년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종순(1991). 고등학생의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심응철(1992). 심리적 성장환경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규선․김동연․전성수(1994). 미술교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이장호․김정희(1998).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박영사.
엄상호(1995).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의식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연미옥(1986). 인문계 고등학교와 각종학교의 가정환경과 자아개념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민경(2004).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아동 및 청소년 집단 프로그램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영임(2001). ADHD아동의 부적응행동개선에 관한 연구-미술치료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통일안보복지전문대학원.
이재화(2003)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 성장에 미치는 영향-Kohut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경(2005).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태인(1995).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사회사업의 효과 - 학교사회사업의 도입을 위한 실험.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은숙(2005). 집단미술치료가 집단따돌림 패해 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성향상에 미치는 효과-중학교 여학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주영(2004). 아동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영숙(2001) 실업계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수준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미향(1997).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순옥(2005). 아동 및 청소년의 자아관련 변인에 미치는 미술치료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유미(1996).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청소년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여주(2003). 미술치료의 이해. 서울: 학지사.
정여주(2001). 만다라와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조현춘․조현재(2002).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주리애(2003). 미술치료 요리책. 파주: 아트박스.
주리애(2000). 미술치료는 마술치료. 서울: 학지사.
지승희(1992). 수행평가에 대한 반응과 자존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도규(1995).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관과 진로만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보가․전귀연(1993). 자아존중감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Ⅰ.대한가정학회지 제 31권 2호.
최선남(2001). 집단미술치료가 자아수용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Vol.8 No.2.
카운피아 원격교육연수원(2005). 아동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서울: 카운피아 원격교육연수원.
한국미술치료학회(2000).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아문화사.
한지연(2005). 미술치료가 학습장애아의 스트레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광식(1993). 아동기와 사춘기의 스트레스. 교육평론.
Appleton, Valerie E. & Dykeman, Cass. (1996). Using Art Group Counseling Native American Youth,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21, 224-231.
Chthy A.Malchiodi(1998). The Art Therapy Sourcebook. 최재영․김진연 역, 미술치료. 서울: 조형교육.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Doric-Henry, Lee (1997). Pottery as Art Therapy with Elderly Ne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14, 163-171.
Festinger, L.(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m processes. Human Rilations, 7, 117-140
Judith A Rubin(2006). Art Therapy: An Introduction. 김진숙 역, 미술치료학개론. 서울: 학지사.
Kaplan, B. H.(1975). Selp-attitudes and deviant behavior. Pacific Palisades, CA: Goodyear. New York. Schocken Books.
Kaplan, B. H(1982). Deviant behavior in defense of self. New York: Academic Press.
Kramer, E. (1971). Art as therapy with children.
McAlevey & Mary Ellen. (1997). Art Therapy and the IV-E Grant in New Jersey.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14, 44-49
Malchiodi, C. A. (1998). Understending Children`s Drawings: Emotional Content of Children`s Drawings: Childhood Depressio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Omizo, Michael M, & Omizo, Shiron A. (1989). Art Activities to improve Self-Esteem among Native Hawaiian Children. Journal of Humanistic and Development, 27, 167-176.
Reston, V. (1995). Helping middle level and high school students develop trust, respect, and self-confidence. NASSP(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Practitioner, 21(4), Apr.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Rosenberg, F. R, & Rosenberg M. (1978). Selp-esteem and delenguency, Journal of Youth and A dolescence, 7(3).
Rubin, j. A. (1987) Approaches to art therapy: Theory and Technique. New York, Landon: Brunner/Mazel, Inc.
Wadeson, H. S. (1980). Art Education: Art therapy reseach. Journal of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33, 31-34.

자료후기(1)

*상*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lt;우수논문&gt;집단미술치료가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