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환경생물공학]연안 미세플라스틱 오염 레포트

밤하늘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3.03.11
최종 저작일
2018.12
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환경생물공학]연안 미세플라스틱 오염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미세플라스틱
3. 미세플라스틱 저감 대책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Abstract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이 2018년을 기준으로 3억 6천만 톤에 육박하였다(Plastics Europe, 2019). 이렇게 생성된 플라스틱 쓰레기(plastic debris)는 해안선, 해면 및 해저에서 주로 발 생하고 심지어는 북극 해빙에서도 발견되고 있다(Bergmann et al., 2019).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이라는 생태계에서 특히 그 위해성에 우려를 받아 주목을 받고 있다. 해양생태계는 육상 생태계보다 먹이사슬과 영양단계가 훨씬 복잡하여 먹이사슬을 통해 오염물질이 축적되는 생물 증폭(biomagnification)과 생물농축(bioaccumulation)이 쉽게 발생한다(Cole et al., 2013). 이에 따라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미세플라스틱을 규제하고 플라스틱 대체재 개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최근 식물기반복원 기술의 가능성도 제시되어 앞으로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토양에 적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 서론

2차 세계대전 이후 플라스틱과 함께 새로운 소비사회가 도래하면서 해마다 플라스틱 사용량 은 증가하고 있다. 흔히 ‘플라스틱 중독 시대’라고 표현할 만큼 우리 사회에서 이제는 떼어낼 수 없는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2018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생산된 플라스틱 양은 약 3억 6천만 톤으로 재활용율이 증가하고 있기는 하나 약 2.6%(940만 톤)에 그쳤고(Plastics Europe, 2019) 이에 따른 환경 오염과 재활용의 중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해양 으로 배출되는 플라스틱의 약 80%는 육지에서 배출된 것으로 해양 오염의 가장 큰 오염 원인 으로 볼 수 있다(Andrady, 2011). 플라스틱은 자연상태에서 완전히 생분해되지 못하고 잔류하여 환경 요인에 의해 작게 조각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플라스틱 쓰레기(plastic debris)는 해안선, 해면 및 해저에서 주로 발생하고 심지어는 북극 해빙에서도 발견되고 있다(Bergmann et al., 2019). 플라스틱은 해 류와 바람에 의해 계속해서 작게 조각나 수많은 미세플라스틱으로 바뀔 수 있는데(Moore, 2008) 생성된 미세플라스틱은 작은 크기로 인해 수거가 어렵고, 해양 환경 특성상 야생 동물, 인간에 대한 지속성 및 영향 등 잠재적 위해성으로 인해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Thompson et al., 2009)

참고 자료

Andrady, A. L. (2011). Microplastics in the marine environm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62(8), 1596-1605.
Bergmann, M., Mützel, S., Primpke, S., Tekman, M. B., Trachsel, J., & Gerdts, G. (2019). White and wonderful? Microplastics prevail in snow from the Alps to the Arctic. Science Advances, 5(8), eaax1157.
Cole, M., Lindeque, P., Fileman, E., Halsband, C., Goodhead, R., Moger, J., &Galloway, T. S. (2013). Microplastic ingestion by zooplankton.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7(12), 6646-6655.
Ebere, E. C., Wirnkor, V. A., & Ngozi, V. E. (2019). Uptake of Microplastics by Plant: a Reason to Worry or to be Happy?. World Scientific News, 131, 256-267.
Eriksen, M., Lebreton, L. C., Carson, H. S., Thiel, M., Moore, C. J., Borerro, J. C., ... & Reisser, J. (2014). Plastic pollution in the world's oceans: more than 5 trillion plastic pieces weighing over 250,000 tons afloat at sea. PloS one, 9(12), e111913.
Girard, N., Lester, S., Paton-Young, A., & Saner, M. (2016). Microbeads:“Tip of the Toxic Plastic-berg”? Regulation, Alternatives, and Future Implications. Institute for Science, Society and Policy: Ottawa, ON, Canada, 210-230.
Harrison, J. P., Boardman, C., O'Callaghan, K., Delort, A. M., & Song, J. (2018). Biodegradability standards for carrier bags and plastic films in aquatic environments: a critical review. Royal Society open science, 5(5), 171792.
Hurley, R. R., Lusher, A. L., Olsen, M., & Nizzetto, L. (2018). Validation of a method for extracting microplastics from complex, organic-rich, environmental matrice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2(13), 7409-7417.
LEE, H. S., & KIM, Y. J. (2017). Estimation of microplastics emission potential in South Korea-For primary source. The Sea, 22(3), 135-149.
Li, L., Zhou, Q., Yin, N., Tu, C., & Luo, Y. (2019). Uptake and accumulation of microplastics in an edible plant. Chinese Science Bulletin, 64(9), 928-934. Masura, J., Baker, J. E., Foster, G. D., Arthur, C., & Herring, C. (2015). Laboratory methods for the analysis of microplastics in the marine environment: recommendations for quantifying synthetic particles in waters and sediments.
Moore, C. J. (2008). Synthetic polymers in the marine environment: a rapidly increasing, long-term threat. Environmental research, 108(2), 131-139. Thompson, R. C., Swan, S. H., Moore, C. J., & Vom Saal, F. S. (2009). Our plastic age.
Ogata Y, Takada H, Mizukawa K, Hirai H, Iwasa S, Endo S, Mato Y, Saha M, Okuda K, Nakashima A, Murakami M, Zurcher N, Booyatumanondo R, Zakaria MP, Dung LQ, Gordon M, Miguez C, Suzuki S, Moore C, Karapanagioti HK, Weerts S, McClurg T, Burres E, Smith W, Velkenburg MV, Lang JS, Lang RC, Laursen D, Danner B, Stewardson N, Thompson RC (2009) International pellet watch: global monitoring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in coastal waters. 1. Initial phase data on PCBs, DDTs, and HCHs. Mar Pollut Bull 58:1437–1446
Plastic Europe, (2019), Plastics—The Facts 2019
Qi, Y., Yang, X., Pelaez, A. M., Lwanga, E. H., Beriot, N., Gertsen, H., ... &Geissen, V. (2018). Macro-and micro-plastics in soil-plant system: effects of plastic mulch film residues on wheat (Triticum aestivum) growth.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45, 1048-1056.
Strifling, D. A. (2016). THE MICROBEAD-FREE WATERS ACT OF 2015. Journal of Land Use & Environmental Law, 32(1), 151-166.
Urbanek, A. K., Rymowicz, W., & Mirończuk, A. M. (2018). Degradation of plastics and plastic-degrading bacteria in cold marine habitat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02(18), 7669-7678.
Wu, W. M., Yang, J., & Criddle, C. S. (2017). Microplastics pollution and reduction strategies. Frontiers of Environmental Science & Engineering, 11(1), 6.
Yadav, A. N., Verma, P., Kumar, V., Sachan, S. G., & Saxena, A. K. (2017). Extreme cold environments: a suitable niche for selection of novel psychrotrophic microbes for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Adv Biotechnol Microbiol, 2(2), 1-4.
Yoshida, S., Hiraga, K., Takehana, T., Taniguchi, I., Yamaji, H., Maeda, Y., ... &Oda, K. (2016). A bacterium that degrades and assimilates poly (ethyleneterephthalate). Science, 351(6278), 1196-1199.
Zhang, Z., Luo, X., Fan, Y., & Wu, Q. (2015). Cumulative effects of powders of degraded PE mulching-films on chemical properties of soil. Environ. Sci. Technol, 38(115), e119.
그린피스, 2016.7.6. 우리가 먹는 해산물 속 플라스틱
류지현, & 조충연. (2019). 미세플라스틱 현황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공업화학전망, 22(2), 1-12.
류광현, & 김현중. (2019). [총설] 미세플라스틱의 현황과 대체제 연구동향 및 저감대책. Korean Industrial Chemistry News, 22(6), 59-79.
식품의약품안전처 공고 제2016-656호 및 공고 제2017-43호
안대한, 2018.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 방지 정책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이혜성, & 김용진. (2017). 다양한 매체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정량· 정성법에 관한 고찰.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34(6), 537-545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18) 플라스틱 오염 현황과 그 해결책에 대한 과학기술 정책.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7. 해양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환경 위해성 연구
밤하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환경생물공학]연안 미세플라스틱 오염 레포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