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상까라의 불이일원론(不二一元論)에 나타난 웨단따 학파의 인식 개념

알작가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3.01.05
최종 저작일
2017.10
1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상까라의 불이일원론(不二一元論)
2. 상까라의 진리인식의 수단
3. 브라흐만과 아뜨만의 동일성에 대한 인식론
4. 웨단따 학파의 지각의 개념
5. 내적 지각에 대한 해석
6. 아뜨만에 대한 4가지 상태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인도사람들에게 있어서 ‘사유’란 오늘날 우리들이 이야기 하는 ‘종교’라는 것과 ‘철학’이라는 것이 뒤섞였다고 할 수 있다. 종교라는 정의와 철학이라는 정의가 섞인 인도철학은 전통적으로 형이상학적인 문제에 대해서 철저하게 파고들면서 정리, 발전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존재에 대한 본질적인 탐구와 의문에서 나온결과이며 브라흐만이라는 절대자에 대한 믿음 때문이었다. 이러한 브라흐만을 종교적 혹은 학문적으로 해석했던 인도철학파 중 웨단따 학파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하고 있다. 『Brahma sūtras』를 근본 경전으로 하면서 『Upaniṣad』, 『Bhagavad Gītā』까지 계시서(Śruti)를 삼은 그들은 상키야 학파의 이원론을 부정하고 ‘브라흐만이 곧 아뜨만’이라는 일원론을 완성시킨다. 그 완성의 정점에 서있는 사람이 인도의 위대한 철학자인 상까라이다. 그는 브라흐만과 아뜨만이 동일하다는 전재를 통하여 다시 위의 계시서(Śruti)를 해석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 ‘브라흐만과 아뜨만이 동일하다.’는 사상을 완성시킨다.
그러나 절대자 브라흐만을 상정하게 되면 많은 오류에 휩싸이게 되었다. 불변하고, 영원한 브라흐만이 만약 인식이나 지각을 하게 된다면 변화한다는 모순에 빠져버리게 되는 것이다. 상까라는 자신의 철학을 발전시켜나가면서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상정하였고, 그 방법 역시 계시서(Śruti)의 해석을 통한 해결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론도출과정에서 브라흐만이 곧 아뜨만이라는 자신의 견해를 완성시켰지만, 우리 안에 내제되었다고 주장하는 아뜨만이 존재한다고 한다면 일상에서 변화하는 모습을 설명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상까라는 존재의 구조를 분석하여 해결하려고 했고 인식 수단과 심리적인 사실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는 불이일원론(不二一元論)을 주장한 상까라가 어떻게 진리인식의 수단을 삼고 브라흐만과 아뜨만에 대한 동일성을 이룩했는지, 또한 웨딴따 학파의 지각의 개념과 내적 지각에 대한 해석

참고 자료

상까라, 이종철 역, 천 가지 가르침, 『Upadeśasāhasrī』 초판, 서울 : 소명출판.
슈 헤밀턴(2005), 고길환 역, 인도철학입문 초판, 서울 : 현대신서.
슈리 상카라차리야, 알라디 마하데바 샤스트리 영역, 김병채 역, 『슈리상카라차리야주석의 바가바드 기타』 초판, 경상남도 : 슈리 크리슈나다스 아쉬람.
마에다 센가쿠, 강종원 역, 웨단따철학 -샹까라를 중심으로- 초판,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中村 元著, 『シャンカラの思想』, 一刷, 岩波書店.
BSBh. 1.1.4 p.83. cf. BSBh. 1.1.1, p.35.; PBh., Introduction, P.6.; Upad. 2.1.13.; P. Hacker, Unters., p.2047.; J. F. Staal, Advaita and Neoplatonism (Madras : University of Madras, 1961).
K. Camman, Das System des Advaita nach der Lehre Prakāśātmans (Wiesbaden : Otto Harrassowitz, 1965)
Nyāyamañjarī, S. Chatterjee, The Nyāya Theory of Knowledge.
Translated and Edited by Patrick Olivelle, 『The Early Upanisads』, Bṛhadāraņyaka.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explanatory notes by Swami Jagadananda, 『A Thousand Teachings』, Note of Srisankaracharya, 1949.
Radhakrishna, Sarvepalli (1960). Brahma Sutra, The Philosophy of Spiritual Life.
S. Radhakrishnan, S and Moore, C. A(ed, 1973), A Source In Indian Philosophy, Princeton, N. J.:Princeton University Press.
Vedāntaparibhāṣā, Upodghāta 10 (by S. S. Suryanarayana Sastri, The Adyar Library Series, No.34, 1942)
알작가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소개
회원 소개글이 없습니다.
전문분야
인문/어학, 자연과학, 독후감/창작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상까라의 불이일원론(不二一元論)에 나타난 웨단따 학파의 인식 개념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