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다윈주의 윤리학 - 윤리학에서 유전자의 기능과 이성의 역할 -

*병*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2.08
최종 저작일
2020.02
1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다윈주의 윤리학 - 윤리학에서 유전자의 기능과 이성의 역할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도덕성은 발달하는가?
Ⅱ. 이타 성: 도덕성의 기원인가, 유전자의 이익인가?
Ⅲ. 후성규칙과 도덕적 책무
Ⅳ. 이성과 유전자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 일상은 행위의 옳고 그름이나 선과 악을 판단하면서 살아가는 삶의 연속이다. 이와 같이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선과 악을 구별하는 물음은 ‘도덕성’의 문제이고, 도덕성의 본질 또는 본성을 해명하는 학문 분야를 일컬어 우리는 ‘윤리(학)’이라 한다. 이른바 윤리란 국어사전에 따르면 ‘인간이 지켜야만 하는 마땅한 도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런 도리의 실천을 명제화한 것이 규범이다. 다시 말하면 규범이란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이니, 규범의 본성 해명을 통해 도덕성을 정초하려는 입장이 다름 아닌 ‘규범윤리학’(normative ethics)인 것이다. 이런 도덕규범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예를 들어 기독교의 십계명이나 유교의 삼강오륜, 불교의 8정도 등이 이에 속한다. 이들 규범이 의미하는 바를 우리는 대체로 전통과 관습을 통해 습득한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는 이렇게 습득한 규범의 의미에 따름으로써 비로소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아마도 밀(J. S. Mill)이 여성권리인정투쟁을 벌이고, 러셀(B. Russell)이 반핵운동을 벌였던 것도 이런 기존의 규범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이런 규범들은 누가 만들었는가? 다시 말하면 오늘날 도덕규범들은 어떻게 존재하게 된 것일까? 이런 의문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이와 관련하여 유신론자들은 먼저 ‘신의 의지’를 생각해낼 것이고, 자연주의자들은 ‘자연 사상’을 생각해낼 것이다.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런 도덕규범들이 모든 사람들이 추구해야 할 보편성과 당위성을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연유로 모든 도덕규범은 반드시 단언적 명제나 명령의 형식을 띤다. 이것은 도덕의 본성을 구성하는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고, 이 필수적인 요소에 대한 탐구야말로 전통적으로 철학자들의 고유 업무 가운데 하나이다. 도덕성과 관련하여 철학자들은 먼저 도덕적 사고와 행위의 기본전제를 찾아내려고 한다.

참고 자료

R. Dawkins(2002), The Selfish Gene(홍영남 옮김, 『이기적 유전자』, 서울: 을유문화사).
W. D. Hamilton(1964), ‘The Genetical Theory of Social Behaviour I, II’,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7(1).
D. Hume(1998),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3: Of Morals(이준호 옮김, 『도덕에 관하여』, 서울: 서광사.
Ch. J. Lumsden and E. O. Wilson(1981), Genes, Mind and Culture- The Coevolutionary Proces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Ch. J. Lumsden and E. O. Wilson(1983), Promethean Fire- Reflections on the Origin of Mind, Massachu- 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M. Ruse(1998), Taking Darwin Seriously, New York: Prometheus Books.
M. Ruse and E. O. Wilson(1986), “Moral Philosophy as Applies Science”, Philosophy 61.
K. R. Popper(1972), Objective Knowledge- An Evolutionary Approach,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P. Singer(1999), The Expanding Circle: Ethics and Sociobiology(김성한 옮김, 『사회생물학과 윤리』, 서울: 인간사랑.
R. L. Trivers(1971), ‘The Evolution of Reciprocal Altruism’ Quarterly Review of Biology 46.
E. O. Wilson(1992), Sociobiology: The Abridged Edition(이병훈, 박시룡 옮김, 『사회생물학― 사회적 진화와 메커니즘』, 서울: 민음사.
E. O. Wilson(2001),On Human Nature(이한음 옮김, 『인간본성에 관하여』, 서울: 사이언스북스).
E. O. Wilson(2005),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최재천, 장대익 옮김, 『통섭- 지식의 대통합』, 서울: 사이언스북스.
*병*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다윈주의 윤리학 - 윤리학에서 유전자의 기능과 이성의 역할 -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