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신선한 콩기름과 산패된 콩기름의 점도, 색도, 산도 측정

*현*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08.10
최종 저작일
2019.04
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일반조리 및 튀김유로 주로 사용되는 콩기름을 대상으로 유지의 물리적 성질인 점도, 색도와 화학적 성질인 산가를 측정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1. 제목
2. Abstract
3. 서론
4. 재료 및 방법
5. 결과 및 고찰
6. 요약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지는 실온에서 액체인 기름을 유(oil), 고체인 기름을 지(fat)라고 하며 이를 합한 말이다. 유지는 우리의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이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호르몬을 운반하는 역할도 하고, 체내에 축적됨으로써 체온 유지에 기여하며, 또한 충격으로부터 내장기관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콩 기름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식용되고 있는 기름으로 정상적인 콩의 기름중 지방산은 포화지방산 (palmitic acid + stearlic acid) 15%, oleic acid 23%, linoleic acid 53%와 linolenic acid 9%로 구성 되어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1970년대 이후 콩 지방산 생합성에 관한 유전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고 또한 많은 진전을 보았다(1).
식용유지 공급량(일 인당)에서도 콩기름이 전체 식물성 유지의 54%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일반조리 및 튀김유로 사용되는 양은 90% 이상이다(4). 콩기름은 전체 식용기름 수요의 38%를 차지하는데 그 이유는 콩의 암, 혈전, 고혈압 예방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이 크게 부각되며 단백질과 지방질을 보완, 공급하는데 가장 안성맞춤인 작물인 동시에 콩기름의 86%가 불포화 지방산이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추고 인지질이 많아 동맥경화 예방에 뛰어나기 때문이다(7).
현대인들은 바삭바삭한 식감과 섭취시의 포만감을 느끼게 하고 지용성 비타민 섭취가 가능하며 무엇보다 음식의 맛이 향상된다는 유지의 특성 때문에 튀김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11,12). 이러한 이유로 많은 양의 식용유지가 튀김용으로 사용되는데, 식용 유지나 지방질 식품을 오래 가열하거나 장기간 저장할 때 도중에 유지의 화학적 변화 및 미생물의 증식 등에 의하여 aldehyde류, alcohol류, ester류, ketone류, carboxylic acid 등이 생성되어 색, 맛 및 냄새의 변화가 일어나고, 비정상적인 냄새와 맛이 발생하게 되며 ......<중 략>

참고 자료

Lee JD, Research trends on soybean: research trends for improving quality of soybean oil, Korea soybean research society, 279: 4-6 (2010)
Hong EJ. Rancidity analysis of rapeseedoil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using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6): 699-704 (2010)
Choi ES. Effects of thermooxidation ofsoybean oil in association with fried foods on quantity food produc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5): 723-730 (2011)
The Agriculture, Fisheries, Livestock News. 2009-2010 Food yearly statics. HNCOM Press, Seoul, Korea. 247-276 (2009)
Choi IS. Analysis of free fatty acid formation and oxidative rancidity for deep flying oil produced by traditional and modified fry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17(4): 316-325 (2011)
Jeong JS. Study on the lipid oxidative stability of products fried in soybean oil with sesame oil. MS thesis, Inha Univ., Incheon, Korea (2002)
Sin HC, Soybeans and health / isoflavon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Food News, Food Journal (2003)
Paul S, Mittal GS. Regulating the use of degraded oil/fat in deep-fat/oil food frying. Crit. Rev. Food Sci. Nutr. 37(4): 636-662 (1997)
J. M. Ames. Chemistry and physiology of selected food colorants. MS thesis, Oxford Univ., England, U.K. (2000)
Hong KH. Electrochemical Study on Rancidity of a soybean oil. Analytical sci. & Techno. 15(4): 388-391 (2002)
Park GY. Acidification of frying oil used for chicken. J. Fd Htg. Safety 18(1): 36-41 (2003)
Cha SK. Kang KS. Ma SJ. Bang KY. Oh MH and Oh SH. Standard food analytics. jigu publishing. Paju, Korea. 100-102 (1995)
Kim KW. Food Chemistry. Kwangmoonkag, Paju, Korea. 79-82 (2007)
Choi YB. Sitology. Yuhansa, Seoul, Korea. 66 (2004)
Lee K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ginseng and oils derived from deep-frying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6): 941-947 (2013)
Kim JY, Jeon MS, Lee KT, Changes in trans fatty acid content of soybean oil, shortening and olive oil according to the number of frying,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184-185 (2007)
Hong EJ. Rancidity analysis of rapeseed oil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using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6): 699-704 (2010)
Choi EM, Koo SJ. Effects of the addition of vegetables on oxidized frying oi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 557-561 (2002)
Park JH, Development of a trans fat lowering method in frying oils using rice husks, Seonggyungwan Univ., Seoul, Korea (2015)
Lee BS, Lee BD and Eun JB. Antimicrobial activity and oxidative st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 on soybean oil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6): 816-822 (2006)
Jeoung KT. The production of mushroom mycelium using rancid oil of fried chicken. The Korean J. of Mycology. 24(4): 305-309 (1996)
*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신선한 콩기름과 산패된 콩기름의 점도, 색도, 산도 측정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