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건축공학] 건축용어

"[건축공학] 건축용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2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1.11.19 최종저작일 2001.11
28P 미리보기
[건축공학] 건축용어
  • 미리보기

    목차

    건축용어모음


    가구(架構)
    간살이(柱間)
    갑석(甲石) ...

    L
    나비장
    낙양
    난간(欄干, 欄杆) ...


    다포집(多包閣)
    단귀틀(短-)
    단연(短緣) ...


    마룻대
    마룻대공(宗臺工)
    마룻도리 → 마룻대 ...


    바라지
    바라지창(望窓)
    바래기(望瓦) → 망새 ...


    사래(蛇羅)
    사모지붕(四-)
    사모집(四-) ...


    안초공(按草工)
    암막새(女莫斯)
    암키와(女瓦) ...


    장선(長線)
    장여
    장혀(長舌) → 장여 ...


    착고(着固)
    착고막이(着固-)
    착고판(着固板, 浮椽間板) ...


    탁의(卓衣)
    토수(吐首)
    통기둥(通柱) ...


    파련대공(波蓮臺工)
    팔작지붕(八作屋蓋)
    팔작집(八作-) ...


    하방
    하엽(荷葉)
    하엽동자(荷葉童子) ...

    본문내용



    가구(架構)
    공간을 형성하는 목조 건물의 골격 구조. 架構의 법식에 따라 單層,重層,通層으로 구분되고, 규모에 따라 三樑架,五樑架,七樑架,九樑架 등으로 구분된다.

    간살이(柱間)
    건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둥이 중요한 것이므로, 기둥이 몇 개 섰느냐에 따라 집의 규모를 계산하였다. 기둥과 기둥사이를 하나의 단위로 삼았는데, 그것을 間이라 불렀다. 칸은 들보가 걸리는 방향과 도리가 걸리는 간격에 따라 樑間과 道理間이라 부르는데, 지금은 정면, 측면 및 몇 칸이라 계산한다. 또한, 칸의 위치에 따라 御間,來間,退間이라 부르고, 안팎의 구조에 따라 外陣,內陣이라 한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