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伽藍配置의 來源과 중국적 전개양상 고찰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8.28
최종 저작일
2010.04
2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지정보 : 건축역사연구 / 19권 / 2호
저자명 : 염중섭

목차

1. 서론
2. 인도에 있어서의 가람배치적인내원
2-1. 精舍와 塔
2-2. 塔과 佛像
3. 중국의 가람배치
3-1. 金堂과 탑의 상관관계
3-2. 금당과 탑의 분리와 정형화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영어 초록

In that the Buddhism is the religion founded by Buddha, the settlement of Buddha's existence is very important in the temple building arrangement which symbolizes the Buddha's world. What symbolizes the Buddha in the temple are the pagoda and the Buddhist image. Among them, the Buddhist image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Golden Hall. This kind of double structure is settled as a typical pattern for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such as halls and pagodas. The earlier one between the pagoda and Buddhist image is the pagoda, of course. It can be inferred that, through the gradual expansion of the Buddhist images, the gravity was transferred from the pagoda to the Golden Hall. But, if the Buddhist image can be connected with the Golden Hall in that it was the product reflecting the requests on the Buddha and his teaching, the internal origin of the Buddhist image should also go back to the early Buddhism. In fact, the gravest building in Veṇuvana - vihāra or Jetavana - anāehapiṇḍasyārāṃa was the Golden Hall, the Buddha's residence. And in the summit of Gṛdhrakūṭa or Jetavana - anāehapiṇḍasyārāṃa where Buddha stayed long, there is the gandha - kuṭī the Buddha's place till now. It means that the symbolic request on the Buddha and his teaching had existed even before the Buddhist image and that this tendency could be connected with the generation of Buddhist image.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hall / pagoda structure generalized in the building arrangement of later age was originated not just from the Buddhist image and the sarira pagoda but from the gandha - kuṭī and the hair pagoda, and therefore the two should coexist inevitably. It is an attempt to develop a little more in the ideological perspective the general theory that the pagoda and the Buddhist image were fused into one precinct of temple later in their respective origins. That is, it tries to recognize the relation of pagoda and hall not as the conflicting one but as the complementary on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伽藍配置의 來源과 중국적 전개양상 고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