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정서 유도 음악에 대한 시각장애인과 정안인의 음악 정서 반응 차이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10.12
최종 저작일
2015.09
1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수록지정보 : 시각장애연구 / 31권 / 3호
저자명 : 박혜영, 정현주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특정 정서를 유도하는 음악에 대한 정서 반응을 정서 규명과 정서 강도로 나누어
시각장애인과 정안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음악으로 유도될 수 있는 기본 정서 유형을 행복, 슬픔, 분노,
두려움으로 분류하고, 65명(시각장애인 28명, 정안인 37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self-reported)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과 정안인은 정서를 규명하는 데에
높은 일치율을 보였으며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제시된 음원에 대한 정서 강도 반응에서
시각장애인과 정안인은 정서 유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행복과 분노에서는 두 집단이 유사한
수치를 보였으나, 슬픔의 정서 강도는 시각장애인이 정안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반면, 두려움의 정서
강도는 시각장애인이 정안인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 < .05). 이에 시각 손상으로
발생하는 시각적 경험의 제한이 음악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between adults with and without visual impairment. The factors of examination
were the congruence of intended emotion of the music; the perceived emotion of the
listener and the intensity of such perceived emotions. These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A total of 65 participants (28 visually impaired, 37 typical
vision) listened to twelve 15-second excerpts and reported which emotion they felt
among four common emotions; happiness, sadness, anger, and fear. They then graded
the extent of intensity of the emotion in percentag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with reference of reviews of experts, musical stimuli were selected from various
films, because of its purpose to induce strong emotional responses. Results showed
that both groups similarly identified the intended emotions of music.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sity of emotional responses between the groups
(p< .05) showing a lower mean average in the visually impaired group. The intensity
of sadness was higher in this group than in the sighted, while that of happiness and
anger was similar for both groups. In regards to fear, the visually impaired scored a
noticeably lower percentage than the sigh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presume that the lack of visual experience among visually impaired adults may
influence the depth and intensity of their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This suggests
that the limited visual input experienced during their developmental period combined
with less opportunity to know music as a multisensory stimulation, are factors to be
considered. Future studies should continue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in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정서 유도 음악에 대한 시각장애인과 정안인의 음악 정서 반응 차이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