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내용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 및 과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9.04
최종 저작일
2009.01
2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원리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원리연구 / 14권 / 2호
저자명 : 양미경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외 교과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되어 온 `내용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대해, 그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한계를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첫째, 교사의 PCK의 적절성 판단 기준의 모호성, 둘째, 교과의 성격에 대한 개념화 방식의 문제, 셋째, `학자의 지식`과 `교사의 지식`의 이분법적 구분의 문제 등이다. 논의를 통해, 학교와 교사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다중성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교사의 PCK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 자체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성찰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학문 본위 교과교육`과 `교육 본위 교과교육`의 관점이 다를 수 있음을 논의하고, 향후의 교과교육연구는 후자의 관점을 견지할 필요가 있음이 논의되었다. 끝으로, 객관주의 인식론에 기초한 PCK 개념의 한계를 지적하고 학자의 지식이 지닌 교육적 성격을 고려할 때, 이분법적 구분은 재고되어야 함이 지적되었다. 교과교육학 연구에서 드러난 이러한 한계는 사실상 기존의 제1기 교육학 연구의 혼선과 오류를 극복하지 못하고 답습해 옴으로 인한 것임을 확인하고,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육본위론의 관점이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음이 제안되었다.

영어 초록

Over the last two decade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has become a powerful lexical item 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al community. And it has been considered as provid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for teacher professionalism. However, in spite of the vast number of studies on PCK, there seems no significant progress. This critical review reveals that the root of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they have failed to find an endogenous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 The main problems and recommendation for further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riterion of relevance of PCK has not fully paid attention to. So it is suggested that the multiplicity and vagueness of the social demand for school and teacher should be reflected before making any effort to improve teacher`s PCK. Secondly, the value of education has been reduced into that of subject matters. The value of subject matters should be reconceptualized as a means to provide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enthusiasm rather than as an ends which needs to be internalized. Finally, the dualistic distinction between the content knowledge per s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criticized. Because that distinction is derived from objectivism which is now in severe criticisms. And the way to deal with that problem is suggested in terms of `Educational epistemology` grounded on `Endogenous theory of Educa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내용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 및 과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