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고려 무신집권기 호위제도의 경호학적 고찰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3.03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경호경비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저자명 : 이성진, 조성진

목차

Ⅰ. 서 론
Ⅱ. 무신집권기의 호위제도의 변천
Ⅲ. 연구 문제의 분석과 논의
Ⅳ. 결 론

한국어 초록

고려전기의 궁중호위는 2군6위의 중앙 정규군으로 편성되어 궁궐안의 호위는 내순검군
이 담당하였으나, 무신집권기에 이르러 군제는 문란해지고 왕실 호위는 무신들에게 의지하
게 되었다. 무신들은 왕의 지척에 있는 중방을 중심으로 문신들을 억압하고 왕권을 무력화
시킨 후 국정을 좌지우지하였다. 무신의 3거두였던 정중부, 이의민, 이고 등의 집권이 단명
으로 끝나고 경대승이 집권자의 지위에 올랐을 때, 그는 자신의 신변안전을 위하여 백 수십
인의 결사대를 문하에 두었는데, 이 조직이 도방(都房)이었다. 경대승이 병사함에 따라
도방이 폐지되고, 최충헌 집권시대에 신변보호와 집권체제 강화를 위해 경대승의 도방을
부활시켜 보완한 6번(番)도방은 규모가 방대하고 더욱더 체계를 잘 갖추었다.
최충헌의 아들 최우의 집권기에 6번 도방은 내외도방(內外都房)으로 확장, 강화되었으
며, 손자 최항의 집권기에는 한층 더 발전하여 도방 36번제도가 확립되었다. 초기의 도방은
무신 중심으로 도방 주인의 신변안전을 목표로 하였지만 후기에는 문신이 참여함으로써
정보 수집과 선발 경호의 활동을 하였고, 내도방에 해당되는 가병은 사후 위험 방지 역할까
지 함으로써 개인의 호위에 만전을 기함은 물론 가문을 지키고 나아가 사회질서와 왕실과
조정을 장악하고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는 포괄적인 임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최 씨 정권은 사적 친위조직으로서 도방 이외에 마별초(馬別抄)를 창설하였는데, 이는
도방과 함께 기병과 보병(步兵)의 양쪽 날개를 이루었다. 삼별초는 고종 때 최우가 조직한
야별초가 좌별초, 우별초로 나누어지고, 여기에 신의군이 합해져 만들어진 것이다. 삼별초
가 조직된 이후에는 별초군이 군사와 경찰, 형옥에 이르기까지 그 기능을 발휘하였다.
무신집권기의 호위 조직이었던 도방과 별초군은 엄밀한 의미에서 사설경호기구로 출발
하였으나 차츰 왕실 호위 기구를 무력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여 왕실이 도방의 보호를
받는 경지에 이르렀다. 사설경호경비에 해당되는 현대의 민간경호경비는 영리성을 목적으
로 하는 것이 특성이지만 공적경호경비와 마찬가지로 범죄예방활동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신 집권시기의 가병이나 도방 구성원들의 역할과 공통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무신집권
기의 경호조직은 처음에 개인의 신변 호위를 담당한 도방으로 출발하여 무신들의 참여와
확장으로 공공성을 띠어가게 되었고, 삼별초(三別抄)의 활약에 이르러서는 왕실 호위기구
가 담당했던 역할에 근접하는 국가 사회 치안구조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영어 초록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the royal guard was comprised of
the central regular army in the 2-gun-6-wi system, and Nasungeomgun was
in charge of the security inside the palace. However, the military system
became disorganized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 and the royal guard
had to rely on military subjects. The military officials suppressed the civil
ministers centering on Jungbang, the guarding organization close to the King
to incapacitate the royal authority and control the state affairs. When the rule
of the three leaders of the military rule became short-lived and Dae-seung
Gyeong is raised to the ruler, he organized a do-or-die squad comprised of
a hundred and more people for his personal safety, and this became the first
dobang. Dobang was disassembled after Dae-seung Gyeong died of disease,
but under the rule of Chung-heon Choe, Dae-seung Gyeong's dobang was
revived and reinforced into 'Yukbeon Dobang' to provide the ruler with personal
protection and intensify the ruling system, and it was quite a large organization
with more refined system.
Yukbeon Dobang was expanded and reinforced into Naeoedobang under the
rule of Woo Choe, the son of Chung-heon Choe, and it was enhanced even
more into Dobang Samsipyukbeon System under the rule of the grandson, Hang
Choe. Dobang can be considered as the guard organization in modern sense,
and it collected information and surveyed the area where guarding is required
and house troops that belonged to Naedobang eliminated the risks that may
follow afterwards to make assurance doubly sure for guarding.
The Choe's regime established Mabyeolcho as a private guard organization
in addition to dobang, and this formed the cavalry and infantry units with
dobang. Yabyeolcho organized by Woo Choe in the reign of King Gojong was
divided into Joabyeolcho and Ubyeolcho, and later Sineuigun was integrated
with them to form Sambyeolcho. Originally, Yabyeolcho was established under
the rule of Woo Choe to prevent crime in the evening, but after Sineuigun
was organized with the ones who were captured by Mongolian army but
escaped, in other words when Sambyeolcho was organized, the organization
displayed much broader influence by covering military and police affairs as
well as punishment and imprisonment.
The guarding organization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 in the Goryeo
Dynasty did not have strict distinction between official guard and personal
guard. The private guard in modern days which is the equivalent of personal
guard is characterized by its commerciality, however, house troops and the
members of dobang did not seem to pursued profit. The guard organization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 started from dobang which was organized
for personal safety but gradually developed publicnes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civil ministers and expansion, and later it played the pivotal
role for social security serving official purpose up to the level where the
distinction between official and private activities was blurred during the period
of Sambyeolcho.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고려 무신집권기 호위제도의 경호학적 고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