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장애인 그룹홈 거주자의 정주감과 주거환경개선 욕구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2.01
2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저자명 : 백은령, 이은미

목차

I. 서론
II. 문헌고찰
III. 장애인 그룹홈 거주자의 정주감과 주거환경개선 욕구
VI.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그룹홈 거주자들의 정주감과 주거환경개선 욕구에 대해 살펴
보고자 시도되었다. 그룹홈과 자립홈 거주 경험을 모두 가지고 있는 거주자 5명과 사회재활교사 5명
을 대상으로 각각 그룹인터뷰를 진행하고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범주, 12개의 하위 범주, 25개의 소
주제들이 나타났다.
분석된 네 가지 범주와 하위 범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룹홈에 대한 정주감 차이요인(원가정/
무연고 요인, 그룹홈의 의미, 독립의지 및 준비, 그룹홈 내 관계), 그룹홈을 ‘집’으로 느끼는데 방해 또
는 도움이 되는 환경요소(방해요소, 도움요소), 거주자 중심의 주거환경 개선 필요 사항 및 한계(독립
성 보장을 위해 개별 공간 확보, 장애를 고려한 생활기구 설치, 위험 및 주거불편요소 개선, 독립 공
간 사용), 거주자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교사공간, 보호와 관리 대 자립훈련의 딜레마)등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해서 장애인 그룹홈 뿐만 아니라 거주시설에 생활하는 장애인들이 시설을
집과 같이 편안하게 느끼기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how group home residents with disability feel about their residence
and what are the needs on improvement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in two groups, one of 5 participants of people with disability who have residence
experience of group home as well as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 home, the other of 5 staff members
of the residential hous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The results are analysed into 4 categories, 12
sub-categories, 25 sub-themes as follows.
First category is factors which make difference of settlement consciousness in group home setting(whether
the residents have ties with original family or not, what meaning does the residents give to the group
home, preparation level or willness for independent living, relationship with residents at group home).
Second category is environmental factors which disturb or support for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about
the group home. Third category is items which need improvement regarding their residence and limitation
of group home life(individual space for independence, living supplies for user friendly for residents with
disability, improvement of risky and inconvenient factors, using independent space). Fourth category is
impact factors for residents' independence(space for staff, care and management vs dilemma for independent
living training).
Considering with the results, this study made a number of sugges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for the
improvement of residen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in order to make the residence more homely and
comfortabl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장애인 그룹홈 거주자의 정주감과 주거환경개선 욕구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