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도시의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평가 지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3.06
1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4권 / 3호
저자명 : 김도경, 문정민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공공공간의 평가 지표
IV. 공공공간 평가 지표의 실증 분석
V.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인간의 생활에서 서로 공유되는 관심사와 생활양식, 정체성 등과 아주 밀접한 관계성을 지니고 있는 도시 공간에서는 공공에 대해 문화적ㆍ사회적 차원에서 포괄적인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 이것은 세분화된 사회적 변화와함께 과학발전과 혁신적인 기술의 발달로도시민의 생활공간이 확대되면서 다채로운 공적 활동으로 증가 되고 있다. 좀 더 나은 환경의 질을 높이기위해 서로에 대한 소통의 장이라고 할 수 있는 공공에 대한 인식이 상승되고도시민이 거주하는 공간에도 공공성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다. 공공과 연관된 시설 에서 공간에 대한 미적 가치와 기능뿐만 아니라, 배려와 소통 그리고 치유와 같은정서적 만족과 함께 쾌적한 생활공간을 기대하고 있다.이러한 대상의 변화는 조형적 요소로써 물리적 환경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 환경과 이용자들이 원하는 감성과 가치 등이 고려되어야 된다는 것이다.이제 도시는 양질의 성장을 위해 세계의 각국에서 도시의 재생을 통해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미국 뉴욕의 The Design Trust1)의 운영과 영국의 공공디자인 자문기구의 케이브2)(CABE)의 발족은 도시 발전 계획에 입각하여 활성화 공간을 만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2000년도 중반 이후부터 공공디자인이라는 정책하에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다양한 정책으로 채택하고 있으나, 공공공간의 이용자에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한 어떤 평가지표나 체계가 명확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체성과 활성화된 이미지를 갖는 공간의 정비를 위해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여 도시의 활성화가 반영되도록 이용자들의 정보를 기초로 도시의 공공공간을 평가할 수 있는방법이 필요하다.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과 함께 도시의 정체성 제고를 위한 수단으로서 공공공간을 평가할 수 있는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를 형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공공공간에 대한 평가 지표의 요소를 파악하고 규명ㆍ도출함으로써 공공공간에 대한 지표의 구축과실증분석으로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계획 방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어 초록

Today’s urban spaces require diverse functions according to segmented social changes. Urban public space needs to bea field of mutual exchange, respect of diversity,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se needs, an identity which reachesthe public should be developed and realiz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esent indexes for evaluating public space as ameans to improve urban identity along with developing an awareness of possible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found out and analysed factors of evaluation indexes for the most fundamental public spaces which form cities in orderto develop directions for deciding on indexes for public space and activation of that public space. An empirical analysiswas conducted with the use of a questionnaire with evaluation indexe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roperties of the spaceto be analysed and the evaluation items were tested.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compared and analysed thedifferences between groups with independent variables (evaluation index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rough a t-test. As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easy and safe accessibility in the use of urban parks as public space was statisticallysignificant. Such results show that accessibility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the use of park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도시의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평가 지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