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출근길엔 니체, 퇴근길엔 장자 (회사 앞 카페에서 철학자들을 만난다면?)

검색어 입력폼
저자
필로소피 미디엄
독후감
3
책소개 걱정에는 하이데거를, 불안에는 사르트르를, 혐오에는 니체를, 짜증에는 장자를! 직장인의 15가지 감정을 읽는 철학자들의 시선 ★ 이진우(철학자, 포스텍 교수) 강력 추천 ★ 따분하기 그지없는 일, 장시간의 노동, 도무지 오르지 않는 월급, 정글의 투쟁 같기만 한 사내 정치…. 직장인들이라면 한번쯤 번뇌한다. 이렇게 일하며 사는 게 맞는 걸까? 이 책은 직장인이 흔히 겪는 심리 상태인 걱정, 불안, 혐오, 부조리, 낙담, 소진, 짜증 등에 대해, 사르트르, 니체, 장자, 손자, 마르크스, 카뮈, 한비자, 하이데거, 공자 등 동서양 철학자들이 해석을 해주는 철학 교양서이자 심리 처방서다. 하나의 감정에 대해 한 명의 철학자가 자신의 사상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대안을 제시하는데, 위대한 철학자들의 관점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가 미처 생각지 못한 깊은 사유와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대만에서 독자들의 대중적 사랑을 받은 철학서로, 국내에서는 니체 연구의 최고 권위자이자 철학자인 이진우 교수가 추천을 했다.
  • 출근길엔 니체, 퇴근길엔 장자 - 필로소피 미디엄 서평, 독후감, 감상문
    출근길엔 니체, 퇴근길엔 장자 - 필로소피 미디엄 서평, 독후감, 감상문
    음…개인적인 느낌은 출근길과 퇴근길에 읽으면 화딱지만 날 책. 또는 고구마만 먹다가 회사에 출근하고 퇴근하게 될 판이다. 목차 상의 책 구성은 좋았다. ‘출근이 두려운 근본적인 이유’ ‘일이 너무 많아 집중이 안될 때’ 등등의 소제목 들은 충분히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충분했다. 하지막 막상 읽어보면…답이 없다. 철학에는 정답이 없는 게 분명하지만 그래도 철학자의 이론을 통해서 뭔가 제안하는 것이 있어야 하지 않는가? 사실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읽으면서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렇다고 이 책에 나오는 니체, 장자, 마르크스, 순자, 장자, 공자 등….의 철학자들의 철학사상을 잘 드러내고 있느냐? 한다면 그것도 고개가 갸우뚱해진다. 그래서 이 철학자가 어떤 가치관을 가졌다는 거지? 어떤 사상을 가졌다는 거지? 라는 의문만 남겼다.
    독후감/창작| 2023.06.05| 2 페이지| 1,900원| 조회(21)
  • '출근길엔 니체 퇴근길엔 장자' 독후감 저자-필로소피 미디엄
    '출근길엔 니체 퇴근길엔 장자' 독후감 저자-필로소피 미디엄
    ① 공포 출근이 두려운 근본적인 이유(마르크스) 이 책 <출근길엔 니체 퇴근길엔 장자>는 회사원이 사회생활을 하면서 겪는 주요 감정을 동서양의 고전 철학자의 사상과 일화를 결합하여 풀어낸 책이다. 책에서 나열한 걱정, 불안, 혐오, 짜증, 분노 등의 감정으로 사회생활에서 피로감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이 책에서 해답의 실마리를 발견할지도 모르겠다. 1부 서양 철학 관련 주제에서 마르크스의 철학을 배웠다. 사실 마르크스는 철학보다는 정치적인 내용으로 처음 알았다. 막연히 자본주의와 반대 사상인 공산주의를 주창하므로 좋지 않게만 바라보았지만, 현대사회와 달리 인권과 노동권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그 시대상에 비추어보면 누구라도 그런 사상을 주창했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한다. 이 책의 예상 독자답게 필자 또한 회사원이다. 그리고 책의 소제목처럼 블루먼데이(월요병)가 싫다.
    독후감/창작| 2022.12.31| 4 페이지| 1,000원| 조회(70)
  • 출근길엔 니체, 퇴근길엔 장자 독후감
    출근길엔 니체, 퇴근길엔 장자 독후감
    직장인의 경우 출근과 퇴근의 차이는 무엇인가? 일요일 밤과 금요일 밤은 회사원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내가 처음 일을 시작했을 때, 나는 일요일 밤을 좋아했다. 물론 그때의 열정이 아직까지 남아있진 않다. 결혼한 지 10년이 넘었는데도 배우자를 보는 게 설레면? 심장병일 수 있다는 우스갯소리만큼이나 나 역시 그때와는 다른 마음의 양식을 갖게 되었다. 우선 출근길에는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와 다소 생소한 영국 철학자 데릭 파핏이 등장한다. 사람들이 나의 목적을 위해 다른 사람들을 이용할 때가 있다. 다른 사람을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정당한가요?의 문제가 발생한다.
    독후감/창작| 2022.12.01| 3 페이지| 1,500원| 조회(125)
AI 챗봇
2024년 06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