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 보고서(유방암)
- 최초 등록일
- 2024.01.29
- 최종 저작일
- 2023.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유방암을 주제로 작성한 여성간호학 보고서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1) 유방암에 대하여
1-1) 유방암의 종류
1-2) 유방암의 원인
1-3) 진단방법
2. 본론
1) 국내의 유방암 관련 정책과 동향
1-1) 식품의약품안전처 ‘유방암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를 혁신의료기기로 지정
1-2) 대한종양내과학회와 대한항암요법연구회의 정책 제의
3. 결론
4. 소감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5년 이후 신규 암 환자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약 38% 정도로 추정된다. 암 환자수가 증가하는 요인으로는 암 발생이 높은 고령인구 증가와 여성의 암 발생률 증가로 설명되고 있으며, 특히, 유방암 발생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인 6대암(위암, 대장암, 간암, 폐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중 나머지 암들의 발생률이 최근 10년 감소 추세를 보이거나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과 달리, 유방암의 발생률은 지난 20년 간 증가하는 추세이며 최근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상 여성암 발생률 1위를 기록했다. 미국에서도 유방암이 오래전부터 여성 암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1) 유방암에 대하여
유방암이란 유방 밖으로 퍼져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악성 종양이다. 발생 부위에 따라 유관과 소엽 같은 실질조직에 생기는 암과 그 외의 간질조직에 생기는 암으로 나뉘며, 유관과 소엽의 암은 암세포가 주위 조직으로 퍼진 정도에 따라 다시 침윤성 유방암과 비침윤성 유방암으로 나뉜다. 남성의 유방암은 여성 유방암의 1% 이하로, 침윤성 유관암이 가장 많이 발견된다.
1-1) 유방암의 종류
유방암의 종류에는 침윤성 유관암, 침윤성 소엽암, 유관 상피내암(비침윤성), 소엽 상피내암(비침윤성), 유방 파제트병, 남성 유방암 등이 있다.
먼저, 침윤성 유관암이다.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이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했을 때, 이를 침윤성 유관암이라고 한다.
참고 자료
지식백과 유방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421&cid=60406&categoryId=60406#TABLE_OF_CONTENT1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유방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2
국립암센터 유방암)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4757
최경숙, 김미숙, 이인자, 한상영, 박정애, 이주현. (2011). 유방암환자 대상 국내 간호중재 연구 분석. Asian Oncology Nursing, 11(1), 74-82.
염유경. (2023).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한 건강 검진. 전기의세계, 72(9), 38-41.
유방암 전문가들, 전이성 유방암 신약 접근성 확보방안 국회 제안. 의학신문. 이재원 기자: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6637
제14호 혁신의료기기로 ‘유방암영상검출·진단보조 소프트웨어’ 지정: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17768&topic=P&pp=20&datecount=&recommend=&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