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아동 상담의 정의와 특수아 상담 과정과 방법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상담의 정의란 무엇입니까
- 최초 등록일
- 2024.01.25
- 최종 저작일
- 2024.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1. 특수아동상담
주제: 특수아동 상담의 정의와 특수아 상담 과정과 방법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상담의 정의란 무엇입니까? 상담의 정의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특수아 상담 과정 4가지를 제시하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상담의 정의
2. 특수아 상담의 정의
3. 특수아 상담 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특수아동(exceptional children)은 “특별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능력이나 한계 때문에 특수한 형태의 교육, 사회적 경험, 또는 처우를 필요로 하는 아동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장애인에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제15조에 의하면 특수교육 대상자를 시각 장애, 청각 장애, 정신지체, 지체 장애, 정서행동 장애, 자폐성 장애, 의사소통 장애, 학습 장애, 건강 장애, 발달지체,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를 지닌 자로 규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장애인 복지법」 제2조에 명시된 장애인의 정의 등에 의하면 그들을 “신체적 ㆍ 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이다.”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신체적 장애’라는 것은 주요 외부 신체 기능의 장애와 내부 기관의 장애 등이다. 그리고 ‘정신적 장애’라는 것은 발달 장애 혹은 정신 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한 장애이다. 결론적으로 특수아동은 “심신의 기능에 어떤 장애가 있거나 심리적 ㆍ 환경적인 부적응의 문제로 인하여 일반적인 프로그램만의 교육으로는 부족하여 다른 특별한 대책이나 서비스가 필요한 아동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임형택, 특수아상담, 학지사, 2016.
최명식 외, 심리상담의 실제, 학지사, 2020.
정은, "특수아동"(장애아동)상담의 실천적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탐색,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주현진, 특수아상담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분석 : 질적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