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윤리 조직 및 연구 윤리 관련 이슈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3.12.02
- 최종 저작일
- 2023.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간호윤리 조직 및 연구 윤리 관련 이슈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연구 윤리의 정의
Ⅱ. 연구 윤리가 대두된 배경
Ⅲ. 윤리적 이슈
1. 731부대 마루타사건
2. 한국체대 교수 무면허 생체검사
3. 의료 AI에 관한 연구 윤리 - 불완전한 AI기술
4. 황우석 스캔들
Ⅳ. 윤리적 이슈들 관련 해결방안
Ⅴ. 기관생명윤리위원회 IRB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 윤리의 정의
책임 있는 연구 수행을 위해 기본적으로 준수해야 할 바람직한 규범으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진실성 유지와 생명윤리, 연구분야의 윤리규범 준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연구 윤리가 대두된 배경
(1) 뉘른베르크강령(Nuremberg Code) => 생명 윤리 개념이 대두
1947년 제정. 최초의 의학연구윤리강령으로 다른 의학연구 윤리규정의 기초가 됨.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의 의사와 과학자들이 실험대장자들에게 매우 큰 고통을 주는 실험을 실시했다는 사실이 전쟁이 끝난 후에 밝혀졌다. 그 중 20명의 의사와 3명의 과학자가 전범 재판을 받았고, 이 중 16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 판결문에서 법원은 의학 실험이 충족시켜야 할 10가지 필수 요소를 명시하였고, 이를 ‘뉘른베르크 강령’이라 부른다.
*피실험자의 자발적 동의 필요. 피험자의 이익과 자발성을 최초로 공식화
(2) 헬싱키 선언(Declaration of Helsinki)
헬싱키 선언은 ‘치료적 실험’과 ‘비치료적 실험’을 구분하고, 건강한 피험자에 대한 실험에서 지켜야 할 윤리적 원칙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에서도 준수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했다.
(3) 벨몬트 보고서(Belmont Report)
미국 정부가 가난한 미국 흑인 매독환자 600여명을 대상으로 병을 치료하지 않고 1936년부터 40여년 동안 실험을 실시한 사건(터스키기 매독 연구)이 배경이다. 1972년 터스키기 실험이 폭로된 이후, 인간 대상 실험에 대한 윤리적 자각이 높아지면서 의학연구의 윤리성을 심사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다. 이에 미국 의회는 1973년 ‘생의학 및 행동과학 연구 실험대상자의 보호를 위한 국가위원회’를 설립했다. 이 보고서는 특히 가장 피해 받기 쉬운 사회적 약자들인 죄수, 정신지체인, 어린이, 시설아동 등을 인체실험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위원회 논의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던 윤리학자 램지의 다음과 같은 언급은 이후 연구윤리의 발전에 시사하는 바가 컸다.
참고 자료
장금성, 김상희 외 8명. (2021). 간호윤리학. 현문사
의료법
국제형사범죄법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정보포털
한체대 교수 무면허 생체검사 관련 뉴스보도 SBS https://youtu.be/z4jinuQynPw?feature=shared
마루타실험 인터뷰 SBS https://youtu.be/8T2KXLeHbv4?feature=shared
꼬꼬무 https://youtu.be/ME6VlXyiGhk?feature=shared
연구자를 위한 윤리지침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연세대학교 연구처 연구윤리 https://yure.yonsei.ac.kr/life/lifeIntro.do
현재 의료 AI 사용 현황 https://www.etnews.com/*************9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문가들의AI관련윤리에대한입장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904741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황우석 교수 연구의 윤리문제에 대한 중간 조사결과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