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 스틸(De stijl) 사조의 분석을 통한 데 스틸(De stijl) 건축표현
- 최초 등록일
- 2023.01.25
- 최종 저작일
- 2020.04
- 29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

소개글
"데 스틸(De stijl) 사조의 분석을 통한 데 스틸(De stijl) 건축표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데스틸의 형성과배경
1-1 데 스틸의 형성
1-2 데 스틸 운동
1-3 데 스틸의 배경
2. 데 스틸의 이념
2-1 몬드리안의 신 조형주의
2-2 반 되스버그의 요소주의
3. 데 스틸의 특성
3-1 데 스틸의 건축 특성
3-2 형태 구성요소
3-3 면의 조합체계
4. 데 스틸 건축
4-1 테오 반되스버그
4-2 요한네스 피터 오우드
4-3 게리트 리트벨트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대 모더니즘의 시작으로부터 데 스틸 건축의 디자인은 당시의 시대정신에 부응하는 새로운 조형예술 창조 이념이였다. 보편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의 추구를 통해 건축의 형태구성과 시간성을 도입하여 오늘날 근대 디자인 및 건축에 있어서 새로운 틀을 형성할수있는 계기가 되었다. 데 스틸 건축의 이념은 크게 회화에 있어서 구성체계인 초기 데스틸을 이끌었던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와 이후 후기 데 스틸을 이끌었던 대각선을 도입한 반되스버그의 요소주의가 기반을 이루며 이러한 기반에서 각자의 건축가 및 예술가들은 건축의 형태를 구성하고 데 스틸 건축을 이루었다. 특정적 데 스틸 건축의 형태 요소로서 대각선,수직,수평선의 도입, 2차운적 요소와 3차원적요소의 건축적 적용에 의해 데 스틸의 건축적 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데 스틸의 건축의 형태는 슈뢰더 하우스에서 대표적으로 볼수있는데 평면과,공간구성, 외부디자인(면의조합으로인한)이 어떠한 이념(반 되스버그 ‘요소주의’) 의해 구성되어짐으로서 체계성을 확립할수 있었고, 이것을 기본으로 한 자유스러운 면의 구축, 면의 폐쇄와 개방등 전체적인 비례와 조화를 건축에서 볼수있었다.
참고 자료
데 스틸(De Stijl)사조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 디자인학회 논문집 제 14권 (2005.12) – 김홍섭
데 스틸 (De Stijl) 그룹이 지닌 신조형주의 이념구축과 양식으로서의 프라퍼갠더(Propaganda) – 김연화
데 스틸 (De Stijl) 건축 : 회화와의 관련성 - 현대 미술사 연구(1992) - 윤난지
데 스틸 (De Stijl)의 조형적 건축 그 유토피안 비전 – 윤난지
데 스틸 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실내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윤미라,정재욱
리트벨트 작품의 공간표현 형식에 관한 연구 몬드리안 작품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영경
리트벨트의 공간 구축체계 연구 – 박영경
데 스틸의 공간확장과 그영향에 관한 연구 – 정현식,고성룡
요소주의 건축에서의 조형 구축적 특성 – 박영경
Theo van doesburg의 건축 구상원리 –공간과 색채와의 관계 – Shin, Moon-ki
입체파의 조형성이 구성주의 건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성붕/성인수
리트벨트 건축의 재해석에 관한연구 – 데스틸 건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Yoon Hyun Ki
순환적 디자인 사(史)에 있어서 데 스틸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석영
데 스틸 보편주의 종교철학 관념과 근대 창조성-예술에 관한 연구(2015) – 오장환
데 스틸 운동과 건축 (세진사) 1994 – 윤재희
새로운 조형(신조형주의) – Piet Mondr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