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실습 발열(Fever), 급성인두편도선염( Acute Pharyngotonsilitis) 케이스스터디
- 최초 등록일
- 2022.12.04
- 최종 저작일
- 2020.10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아동간호학실습 급성인두편도선염( Acute Pharyngotonsilitis)로 인한 발열(Fever)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발열 및 급성인두편도선염 문헌고찰과 대상자 사정, 3개의 간호진단 및 과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간호진단 목록>
원인 불명의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복합정 원인(구내염, 고열, 인후통, 지속적 설사)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위험
감염 및 설사와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목차
Ⅰ. 문헌고찰
1. 발열
2. 급성 인두편도선염
Ⅱ. 대상자 자료수집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계통문진
4. 신체검진
5. 질환 및 입원에 대한 반응과 적응
6. 검사실 검사
7. 진단검사
8. V/S
9. I/O
10.투약
Ⅲ. 간호과정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정의
발열은 면역자극에 대한 정상적 적응반응으로, 직장 또는 고막체온이 38℃, 구강체온이 37.8℃, 그리고 액와 체온이 37.2℃ 이상이면 발열로 정의한다.
2. 원인
대부분의 발열은 심각한 질환이나 세균에 의해서 발생하기보다는 자기한정성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이다. 0-5세의 아동에서 발열의 10% 이하가 심각한 질환으로 인해, 그리고 1% 정도만이 뇌막염, 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백일해 등과 같은 세균감염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세균감염에 의한 발열은 예방접종으로 인해 적어졌으며 대부분의 발열은 감기,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으로 발생한다. 때로는 약물의 과다복용, 과도하게 두껍게 많이 입은 옷으로 인해 발생한다. 세심한 사정에도 불구하고 발열의 원인이 명백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3. 영향
발열은 아드레날린 호르몬의 생산을 증가시켜 맥박 수, 호흡수, 대사율, 근육의 긴장도를 증가시킨다. 당 분해 작용을 자극하여 세포 내로 화학적 반응속도가 증가하고 이 부산물이 열을 생산한다. 또한 말초혈관 수축을 자극하여 열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발열은 보호적인 항상성 기전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심각한 질환을 가진 아동에게 열은 적이며 질병을 악화시켜 위험할 수도 있다
1) 이로운 효과
체온은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높은 온도에서 잘 자라지 못하게 하기 위한 면역반응에 의해 증가한다. 따라서 40℃ 미만의 발열은 이로운 효과를 가지며 37.5℃와 40℃ 사이의 체온은 대사율을 증가시키며 식균작용 및 면역에 대한 효율성은 증가시키고, 조직 회복도 빨라진다.
2) 해로운 효과
발열로 인해 증가한 대사율은 아동의 인체에 높은 스트레스를 초래하고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게 하므로, 발열은 근본적으로 순환기, 호흡기, 신장, 그리고 대사 문제를 가진 아동을 포함하여 발열로 인해 문제가 발전될 위험을 가진 아동에게는 스트레스원이다.
참고 자료
정용선 외 1인, 아동의 발열과 발열관리:문헌고찰, 아동간호학회지 제 16권 제 1호, 2010
박호란 외 공저, 아동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9
강남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 급성 인후편도선염, http://gs.iseverance.com/dept_cli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