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terial Staining & 선택배지에 의한 특정세균의 동정
- 최초 등록일
- 2022.06.30
- 최종 저작일
- 2017.06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1) Simple staining
2) Gram staining
3) 선택배지에 의한 특정세균의 동정
목차
Ⅰ. Introduction 실험원리
Ⅱ. Material & Method 실험재료 & 방법
Ⅲ. Result 실험결과
Ⅳ. Discussion 고찰
Ⅴ. Reference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Introduction
1. 실험원리
1) 균주
-Bacillus subtilus: 고초균(Bacillus subtilis)은 대표적인 그람 양성 세균이다. 그람 음성 세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와 함께 생물학 실험에서 많이 쓰인다. Bacillus 속의 유명 종으로는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이 있다. 길쭉하게 막대기처럼 생겨서(rod-shaped) 간균의 일종이다. 흙, 공기, 물 등에 살며 일반적으로는 비병원성이다.
-Escherichia coli: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은 온혈동물의 창자(대장과 소장)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박테리아이다. 대부분의 대장균의 변종은 해롭지 않지만, 항원형 O157:H7등은 사람의 식중독을 일으키며, 가끔 대규모의 식품 리콜의 원인이 된다. 해롭지 않은 변종은 대장의 공생동물이며 비타민 K2등을 생산하여 이로움을 주기도 하며, 창자에서 병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의 번식을 막기도 한다. 대장균은 창자에만 있는 것은 아니고 밖으로 방출되면 바로 죽는다. 박테리아는 쉽게 번식하고 유전적으로 비교적 단순하고 다루기가 쉬워 가장 많이 연구된 원핵생물의 표본생물이고, 바이오테크놀로지에서도 중요하게 쓰인다. 독일의 소아과의사이면서 박테리아연구학자인 테오도르 에쉐리히가 1885년에 발견하였으며,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로 분류된다.
-staphylococcus aureus: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그람 양성균인 포도상구균의 한 종이다. 코, 호흡계통, 피부에 잘 존재한다. 피부 감염이나 호흡기계 감염, 부비강염, 식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으나 병원체가 아닌 정상 세균총으로 존재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최호형, 『미생물학』, 아카데미서적, 2004.08.20, p.21-23
민경찬 외 4명, 『필수 식품미생물학』, 광문각, 2008.09.03, p.9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