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역사 요약 보고서

미래사학연구자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2.02.26
최종 저작일
2022.02
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고조선 역사 요약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단군 조선의 역사
2) 기자 조선의 역사
3) 위만 조선의 역사
4) 고조선에 대한 역사 계승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고조선(古朝鮮)은 신화적으로는 기원전 2333년경 단군왕검이 개국했다고 전해지는 한반도의 최초 국가이며, 역사적으로는 기원전 7세기 이전 요서의 비파형동검문화를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었다고 보고된다. 중국 한나라 시대의 기록상에서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나라였음은 분명하나 관련 기록이 매우 적고 추상적이다. 고조선에 직접 속한다는 유물이나 유적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국내외 학계에서는 고조선의 시대와 지역, 역사, 문화 등에 대한 논란이 많다.
고조선의 원래 국호는 조선(朝鮮)이지만, 기원전 194년 중국의 연나라에서 이주한 위만이 찬탈하여 세운 위만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고려시대 역사가이자 승려인 일연이 <삼국유사>에서 고조선이라고 지칭한 것으로 확인된다. 본고는 아래에서 단군조선의 역사를 비롯하여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의 역사를 살펴보고, 고구려 등 후대 왕조의 고조선에 대한 역사계승을 분석해 본다.

2. 본론
1) 단군 조선의 역사
고조선은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를 거쳐 철기시대(BC 2333년~ BC 108년)까자 만주와 한반도 지역에 존속되었던 국가라고 ......<중 략>

참고 자료

김진경. (2014). 국학의 관점에서 본 역사교육의 문제에 관한 연구: 고조선을 중심으로. 선도문화, 17, 9-37.
吳炫受.(2021).고조선의 종족과 교섭망 연구.진단학보,(137),1-30.
김정열 (2018). 중국 고대 문헌자료의 고조선 기사에 대한 이해. 인문학 연구, 47: 215-244
김남중. (2020). [삼국유사] 위만조선 관련 기록의 서술 의도. 사학연구, (139), 49-86.
Choe, S. H. (2011). 고조선의 토기. Ceramist, 14(4), 50-53.
김명옥. (2020). 고조선 건국신화와 난생신화의 연관성 연구. 문화와 융합, 42, 119-146.
조원진.(2020).고조선과 燕나라의 전쟁과 요동.선사와 고대,(62),35-75.
임기환. (2017). 3~ 7 차 교육과정 국정 국사교과서의 고조선, 한군현 관련 서술의 변화. 사회과교육, 56(1), 21-44.
김병준.(2008).漢이 구성한 고조선 멸망 과정.한국고대사연구,50(),5-50.
조원진. (2014). 단군과 기자-고조선사의 체계에 대한 고찰. 고조선단군학, (31), 335-372.
조경철. (2017). 단군신화 속 홍익인간의 유래와 그 의미. 한국학 (구 정신문화연구), 40(3), 93-116.
김채수. (2012). 고대 메소포타미아문명과 고조선. 동북아 문화연구, 31, 149-180.
정영훈. (2005). 남과 북의 단군인식과 단군숭앙. 고조선단군학, (12), 177-219.
김채수. (2012). 단군조선의 멸망과 진국 (辰國) 의 출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99-207.
李東明. (2007). 우리나라 上古時代의 法思想 연구. 법학연구, 26, 1-23.
조법종.(2017).2000년대 이후 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 -단군, 기자조선 연구를 중심으로-.선사와 고대,(54),5-40.
차재복. (2018). 중국 ‘일대일로’의 전략적 의의와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 동북아역사논총, (60), 160-195.
조원진.(2015).고려시대의 기자 인식.韓國史學史學報,(32),181-214.
조원진. (2021). 최근 중국학계의 기자조선 연구 동향 검토. 한국사학보, (85), 7-36.
김성환. (2006). 전북 모악산은 어떻게 ‘성스러운 어머니 산’이 되는가?: 仙道의 맥락에서 보는 성스러움의 다섯 계기. 도교문화연구, 25, 9-42.
오현수. (2018). [사기][조선열전] 기재 ‘秦故空地上下?’에대한 검토: 秦故空地上下?의 공간적 범위와 기능. 한국사학보, (70), 45-71.
임찬경. (2016). 고려시대 한사군 인식에 대한 검토-[삼국사기] 의 현토와 낙랑 인식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 50-110.
윤명철. (2006). 고구려의 고조선 계승성에 관한 연구 2: 왜 고구려는 조선 계승성을 실현해야만 했을까?. 고조선단군학, (14), 35-65.
김성환. (2000). 단국신화의 기원과 고구려의 전승. 고조선단군학, (3), 107-136.
김진광. (2016). 이승휴 [제왕운기] 의 고구려· 발해 인식. 민족문화논총, 64, 477-507.
도현철. (2013). 조선초기 단군 인식과 [삼국유사] 간행. 동방학지, (162), 29-57.
이준성.(2017).동북공정 종료 후 중국학계의 고구려 ‘대외관계사’ 연구 동향.선사와 고대,(53),49-70.
미래사학연구자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고조선의 역사 -신화가 아닌 문헌사료에서 나타나는 고조선단군신화기자조선 분석- 5페이지
    . 기자조선의 허구성 1. 고조선의 중심지는 어디인가? 고조선사는 문헌 ... 전 8세기 나. 기원전 4~3세기 3. 위만조선 4. 단군신화에 대해 5 ... , 고조선이 최초의 국가이며, 단군은 신이한 출생을 가진 건국 시조이고
  • 한글파일 노태돈 2장 1절 요약 5페이지
    [한국고대사] 2장 1절 고조선 등장과 변천 1) 고조선의 대두 시기 ... 것과 연관이 있다. 단군신화고조선 존립 당시 일정한 때에 신성한 ... . 이렇듯 단군신화한국인이 지닌 동족의식의 성장과정을 나타내주는 상징적
  • 한글파일 북한의 고조선사 연구 10페이지
    ~1992) 4)‘단군릉’발굴 3. 현재 북한의 고조선사 1)고조선 2 ... 지난 2002년 10월 3일 “단군고조선에 관한 공동학술토론회”가 ... )후조선기자조선 3)만(위만)조선의 성립과 멸망 4. 북한학계의 연구
  • 한글파일 한국과 세계소통의 역사(이정주) 리포트 3페이지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고조선의 역사는 전통적으로 왕조에 따라 단군조선, 기자조선 ... 한국 고대사`를 보면, 고조선의 위치에 대한 자료로는 중국 고대 서적들에서 ... `세계 속의 한국`이라는 교재에서 제 3장 1편은 고조선의 초기 중심
  • 한글파일 기자조선위만조선에 대하여 서술하기 1페이지
    기자조선(箕子朝鮮)과 위만조선(衛滿朝鮮)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고조선 ... 의 3시기는 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을 말하며, 순서대로 건국되었다고 ... 않아서 대부분 단군조선에서 위만조선으로 이어졌다고 배우고 있습니다
  • 한글파일 동아시아의 역사 전쟁과 관련하여 평화와 공존 방안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3페이지
    발생하고 있으며, 고조선사기자에 대한 서술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고 고조선 ... 기자사를 통해 기자 계승 의식을 제도화하여 기자조선의 역사를 고조선사 ... 점이다. 또한 단군위만을 중심으로 고조선사를 서술하여 기자에 관한
  • 한글파일 고려후기 역사서의 편찬 3페이지
    단군에 대한 기록을 삽입하는 가운데 고조선단군조선기자조선, 위만조선 ... 기록을 삽입하는 가운데 고조선단군조선기자조선, 위만조선으로 구분 ... 있습니다. 해동고승전 우리나라의 뛰어난 승려들에 대해서 기록 우리나라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위잇 도시락 이벤트
  • 르네셀 화장품
  • 초대이벤트 - 운빨로맨스
고조선 역사 요약 보고서
이벤트1 이벤트2 이벤트3 오늘하루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