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사 화엄사
- 최초 등록일
- 2022.01.28
- 최종 저작일
- 2016.06
- 55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7,000원

소개글
한국건축사 사찰 분석 과제를 위해 다른 사찰들과 비교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였고, 대학교 재학 시절 중 가장 오래 공들여 진행한 자료입니다.
성적은 압도적으로 A+을 받았습니다.
안의 이미지들은 직접 손으로 그린 것들이고, 화엄사에 대한 모든 것을 담았다고 보시면 되는 자료입니다.
목차
1. 화엄사 소개
(1) 개요
(2) 선정이유
(3) 문화재
2. 화엄사의 역사
(1) 창건 연혁
3. 화엄사 분석
(1) 가람배치
(2) 주요건축물
(3) 대웅전과 각황전 비교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979년 발견된 신라화엄사경( 新羅華嚴經寫經 )에 의해 8세기 중엽 통일신라 경덕왕때 황룡사 소속의 승려였던 연기에 의해 창건된 절임이 명확히 밝혀졌다.
선정이유
통일신라 시대에 평지 가람에서 산지 가람으로 바뀌었는데, 그 당시 형성되었으며 지리산이라는 산을 두루고 그 지세의 경사에 따라 가람배치를 한 것이 흥미로웠다. 또한, 정문의 위치와 가람배치가 시대에 따라 변하였는데, 명확하게 증명된 것은 없다고 한다. 그러한 점에서 화엄사를 알아보고자 했다.
<중 략>
평면은 내부에 고주를 세워 내외진으로 구분하고 측면 4번째 평주열에 맞추어 후불벽을 설치용 고주를 세워 중심부를 형성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불탱화(법당의 불단 뒤쪽의 벽에 걸어놓는 족자에 그린 불화)는 가운데 3칸에만 걸었으며, 5칸크기의 불단에는 3불좌상과 4보살좌상을 목조로 만들어 봉안하였다.
불단 앞에는 측면 기둥열에 맞춰 어칸의 기둥 4개를 생략하고 기둥 2개만 세웠다.
각황전은 다른 건물에 비해 측면이 넓어 앞뒤 두칸은 회랑처럼 쓰인다.
참고 자료
정병삼(2000), 화엄사, 서울: 대원사
주남철(2006), 한국 건축사,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윤장섭(2002), 한국의 건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안영배(1986), 화엄사 건축공간의 시각적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김상현(2002), 화엄사 창건 시기와 그 배경, 동국대학교사학회
윤정혜(2005), 통일신라시대 화엄사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