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 성인 남성의 주간 평균 수면시간과 하루 평균 좌식 생활 시간이 허리 둘레에 미치는 영향,제 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차년도(2019년도) 분석 결과

깐부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12.23
최종 저작일
2021.11
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 성인 남성의 주간 평균 수면시간과 하루 평균 좌식 생활 시간이 허리 둘레에 미치는 영향,제 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차년도(2019년도) 분석 결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6. 결론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수면은 개인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서1) 수면은 기억력, 학습, 대사조절, 체중, 기분, 심혈관 건강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2)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미국국립수면재단에서 발표한 권장 적정 수면시간에 따르면 성인에게 권고되는 수면시간은 7-9시간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한국 성인의 수면시간은 2012년에는 하루 평균 6.85시간, 2015년에는 6.76 시간으로 수면시간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3) 2016년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의 수면시간은 평균 8시간 22분보다 31분 부족한 7시간 51분으로 최하위로 보고되었다.

적정 수면시간보다 짧은 수면시간이 만성질환의 발병위험을 높인다는 다수의 연구가 있으며, 국내 연구에서도 5시간 이하의 수면시간을 취하는 성인은 7시간의 수면시간을 취하는 성인에 비해 비만, 당뇨병 및 고혈압의 유병률이 더 높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4)이와 같은 만성질환 중 비만의 경우 수면이 부족할 경우 식욕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인 그렐린을 증가시키고 식욕억제를 돕는 렙틴의 수치를 감소시켜 체중의 증가를 불러와5) 그 위험성이 높다.

한편, 좌식시간은 좌식행동(sedentary behavior)을 수행한 시간을 의미하며6) 좌식행동은 에너지 소모량이 1.5METs 이하의 신체활동으로7), 자는 시간을 제외하고 일할 때나 집에 있을 때, 장소를 이동할 때, 친구와 함께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시간을 의미한다.8) 좌식행동은 비만, 제2형 당뇨병, 심혈관질환, 면역기능 약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all-cause mortality) 등과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9-12 남성과 여성의 신체활동과 앉은 시간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에서 앉아서 지내는 시간이 5시간 이상인 남성의 복부비만(24.3%)이 5시간 미만인 남성(22.6%)보다 높다고 보고되었다13). 따라서 선행논문을 바탕으로 좌식 시간과 비만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은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Shankar A, Charumathi S, Kalidindi S. Sleep duration and self-rated health: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2008. Sleep 2011;34(9):1173-7.
Kojima, Masayo, Wakai, Kenji, Kawamura, Takashi l. &Sleep patterns and total mortality: a 12-year folꠓlow-up study in Japan.& J Epidemiol 2000;10:8
김진아, 이심열. &한국 성인의 수면시간에 따른 건강행태 및 식생활: 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Korean J Health Promot 2019;19(4):237-247
이규석, 최준호, 조경희. 한국 성인 남성에서 수면 시간이 복부 비만에 미치는 영향: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 2차년도(2016-2017)분석 결과.n.p.: 대한가정의학회,2020.
&비만의 위험성.& 대한비만학회. n.d. 수정, 2021년 11월 7일 접속, http://general.kosso.or.kr/html/?pmode=obesityCure
Copeland JL, Ashe MC, Biddle SJ, et al. Sedentary time in older adults: a critical review of measurement, associations with health, and interventions. Br J Sports Med 2017;51: 1539.
Wilmot, E. G., Edwardson, C. L., Achana, F. A.,Davies, M. J., Gorely, T., Gray, L. J., Biddle, S. J.,“Sedentary time in adults and the association with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iabetologia, Vol. 55,pp. 2895-2905, 2012.
사석은, 김원현, 조규권, 이지영(2017), “대사적 건강 및 비만상태에 따른 신체활동과 좌식생활의 차이 비교(Comparisons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Life according to Health and Obesity Level),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4 , 2017년, pp.477 - 488
Lakerveld J, Loyen A, Schotman N, et al. Sitting too much: a hierarchy of socio-demographic correlates. Prev Med 2017; 101:77-83.
Biswas A, Oh PI, Faulkner GE, et al. Sedentary time and its association with risk for disease incidence, mortality, and hospitalization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ꠓanalysis. Ann Intern Med 2015;162:123-32.
Chau JY, Merom D, Grunseit A, Rissel C, Bauman AE, van der Ploeg HP. Temporal trends in non-occupational sedentary behaviours from Australian Time Use Surveys 1992, 1997 and 2006. Int J Behav Nutr Phys Act 2012;9:76
김건희, 박두용, 이 온, 김연수(2012), ”한국 청소년들의 알레르기성 비염과 근력운동빈도, 좌식시간 간의 연관성: 2016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활용“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9;37(2):47-53
김진아, 정용화, 배근주, 김지현, 박석원, 조경환, 김양현(2018), ”신체활동과 앉은 시간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제6기(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심으로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Time on Obesity: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가정의학 2018년 8권 5호 p.716 ~ 722
박형섭, 이정숙. 한국 성인의 커피 섭취 유형에 따라 비만 및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13~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n.p.: 한국영양학회, 2019.
박미영, 정나나. 한국남성 20대와 30대의 복부비만에 따른 신체활동과 영양소 섭취량 비교: 제7기(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n.p.: 한국체육과학회,2020.
Park, H. S. Obesity as a health problem and treatment plan. n.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
정현화, 정유진, 노나리, 임형석, 김삼철. 한국 중년 여성에서 복부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016–2017년도 자료 이용. n.p.: 대한가정의학회, 2020.
18)S. M. Grundy et al. (2005). Diagnosis and management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112(17), 2735-2752. DOI: 10.1161/CIRCULATIONAHA.105.169404
19)S. D. Hsieh, H. Yoshinaga & T. Muto. (2003).Waist-to-height ratio, a simple and practical index for assessing central fat distribution and metabolic risk in Japanese men an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27(5), 610-616. DOI: 10.1038/sj.ijo.0802259
옥선명, 주상연, 최환석, 박혜민, 정규인, 송찬희. 성인여성에서 수면시간과 비만과의 연관성,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08, 17(3), 110-116
안효정, 박상신.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자녀수, 수면시간, 비만 간의 관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2021, 46(2), 196-203
Jeong, Kyoung-Sik. Lee, Si-Woo.Kim, Ho-Seok. Baek, Young-Hwa.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Sleep Quality and Obesity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17, 29(1), 40-49
류혜라, 김인영, 서수연. 아동,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주중/주말 수면시간 차이, 우울, 비만의 관계, Journal of sleep medicine, 2015, 12(2), 39-46
24). 이복임.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체질량 지수의 관계,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5, 15(1), 16-23
Ryu S, Jung SP, Lee KM, Kim HS, Cheon SH, Hwang JS.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dietary patterns and obesity in Korean adult women. Korean J Fam Pract 2018, 8(2), 307-310.
이규석, 최준호, 조경희. 한국 성인 남성에서 수면 시간이 복부 비만에 미치는 영향: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 2차년도(2016–2017) 분석 결과, 가정의학학술지, 20(4), 2020, 279-2
정현화, 정유진, 노나리, 임형석, 김삼철. 한국 중년 여성에서 복부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016-2017년도 자료 이용,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20, 10(6), 461-468
권유찬, 박상갑, 김은희, 박진기, 장재희(2011). 태권도 수련이 복부비만 노인여성의 복부지방과 신기능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3(3), 161-173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건강통계,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건강통계, 비만, 2021.11.20.
Dunstan DW, Salmon J, Owen N, Armstrong T, Zimmet PZ, Welborn TA, et al. Associations of TV viewing and physical activity with the metabolic syndrome in Australian adults. Diabetologia 2005;48:2254-61.
권훈겸,하창덕,강현식, 좌식행동수정이 운동중재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비만 여성의
체지방과 대사증후군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Effects of Sedentary Behavior Modification on an Exercise Intervention-Induced Improvements in Body Fa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 Obese Women), 대한비만학회지: 제21 권 제2 호 2012
깐부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 성인 남성의 주간 평균 수면시간과 하루 평균 좌식 생활 시간이 허리 둘레에 미치는 영향,제 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차년도(2019년도) 분석 결과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