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러닝 미래소비사회와 상품 중간과제 2021
- 최초 등록일
- 2021.12.11
- 최종 저작일
- 2021.11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5,000원

소개글
미래소비사회와 상품, 중간고사 대체과제:
STEEP으로 예측되는 미래사회와 새로운 상품
목차
1. 서론
2. 본론
1) S(사회)분야
2) T(기술)분야
3) E(경제)분야
4) E(환경)분야
5) P(정치)분야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코로나로 인해 소비사회와 2년사이에 급속도로 변화하는 것을 몸소 느끼는 중입니다. 코로나19의 백신이 나오는 등 작년보다는 많은 점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코로나는 종식되지 않고 변형된 코로나가 등장하는 등 이제는 코로나의 종식보다는 위드 코로나라는 말처럼 코로나와 함께 살아가야할 미래를 그려야 하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근 2년간 급작스럽게 많은 소비들이 변화한 것을 느꼈기 때문에 먼 미래보다는 비교적 가까운 10년 뒤의 미래를 예측해보려 합니다..
<중 략>
2) T(기술)분야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T(기술)분야에서도 로봇의 발전이 예상됩니다. 1인가구의 증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집안일 도와주는 로봇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iot기술의 발전으로 집전체를 휴대폰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더 널리 사용될 것입니다. 또한 고령화와 1인가구의 증가에 따라 반려동물을 키우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명을 키우기에는 많은 책임감과 노력이 따릅니다. 그래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애완용 로봇을 만들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E(경제)분야
E(경제)분야에서는 복지경제에 중점을 둘 것으로 보입니다. 인구구조의 변화, 노동력의 감소, 인공지능 로봇의 활약 등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는 사람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다양한 복지에 중점을 둘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상황에서 가장 활발히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본소득제에 대해 얘기해보고 싶습니다.
재산, 소득, 고용 여부 및 노동 의지에 상관없이 모든 국민에게 동일하게 최소 생활비를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프랑스 경제 철학자 앙드로 고르로(André Gorz, 1923~2007)가 자신의 저서인 《경제이성비판》에서 ‘기술이 발전하면 생산과정에서 노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앞으로 노동소득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점점 어려워질 것’이라 예측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