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화학및실험] COD 크롬법 결과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1.11.29
- 최종 저작일
- 2021.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환경화학및실험 COD 크롬법 결과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2) 크롬법(K2Cr2O7)
3) COD 등급
2. 실험방법
1) 사용기구
2) 사용시약
3) 실험방법
3. 실험결과 및 고찰
1) 실험결과
2) 실험 고찰
4. 결론
본문내용
1)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COD는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얼마만큼의 산소가 화학적으로 소모되는가를 측정하는데, 산화제로 중크롬산칼륨()이나 과망간산칼륨()을 사용한다. 사용하는 산화제에 따라 크롬법과 망간법으로 나뉜다. 산화제를 과잉으로 가하여 유기물을 산화시킨 뒤 적정을 통하여 소모된 산화제의 양을 구해 사용된 산소의 양을 구한다. COD는 BOD와는 다르게 생물학적으로 산화될 수 있는 유기물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분해가 불가능한 물질까지도 강제적으로 산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보통 COD값이 BOD값보다 크게 나타난다. 또한, 최소 5일이 소요되는 BOD측정과는 다르게 COD는 약 3시간 내에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 크롬법(K2Cr2O7)
산성 조건에서 강한 산화력을 갖는 중크롬산칼륨(K2Cr2O7)을 산화제로 사용하는 COD측정법으로, 대부분 유기물의 95~100% 산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측정시간은 약 3시간가량 소요된다. 이 방법에 의한 측정값은 BOD20에 근사한다. 하지만 시험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은이온을 사용하므로 폐액처리에 유의해야한다. 이 방법은 오염이 심한 공장폐수나 해수의 분석에 자주 이용된다.
실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시료에 일정량의 중크롬산칼륨과 황산-황산은 용액을 가하여 환류시키면서 2시간 끓이면 시료중의 피산화성 물질을 산화시킨다.
참고 자료
환경화학및실험1, 화학적 산소요구량 프린트, 2021.05.12
김덕찬 외 3인, 『환경화학』, 동화기술, 2005.
안승구 외 공저, 『최신 환경화학』, 초판, 동화기술, 2001
수질오염공정시험법, 환경부 고시 제2017-4호 (국립환경연구원) 253-259p
Sawyer, “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science” 2th ed,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