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간성혼수 임상포트폴리오
- 최초 등록일
- 2021.11.03
- 최종 저작일
- 2021.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간성혼수 임상포트폴리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Story
Ⅱ. Reflection
Ⅲ. Clinical strength(3 things)
Ⅳ. Clinical weakness(3 things)
Ⅴ. Learning objectives
Ⅵ. Related to Nursing Skill
Ⅶ. Self study
본문내용
Ⅰ. Story
A 환자는 알코올성 LC로 간성혼수를 진단받은 환자이다. 초기 Mental drowsy 상태였고 이름에 대한 지남력은 있었으나 시간, 장소에 대한 지남력은 없었다. 이후 관장을 실시하고 A 환자는 Mental alert 돌아왔지만 간헐적으로 confusion 상태에 빠졌다. 급성 혼란 상태에서, A 환자는 간호사 선생님과 나에게 욕을 하며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였고 발길질을 하며 저항하는 태도를 보였다. 간호사 선생님은 대상자에게 적용 중인 PICC, Foley catheter, 비강캐뉼라를 보호하기 위해 사지 억제대를 적용했다. 억제대를 적용했는데도 불구하고, A 환자는 반복적으로 몸을 움직였다. 결국 PICC 부위에 출혈이 발생했고 비강캐뉼라는 제 위치에 있지 않아 SpO2 91%가 측정됐다.
Ⅱ. Reflection
나는 급성 혼란 위험성이 있는 대상자에게 어떠한 간호를 제공해야하는지 생각 했다. 환자 안전을 위해 주기적으로 관찰하는 것과 지남력을 인식시켜 편안한 병원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는 Vital sign 측정 시간을 제외하고도 1시간마다 A환자를 확인해 억제대, PICC, Foley catheter, 비강캐뉼라 이상 유무를 확인했다. 또한 대상자 성함을 개방형으로 질문해 지남력을 확인했고, 시간, 장소에 대한 지남력이 없을 시 “오늘은 3월 31일이고 여기는 병원이에요.”라고 천천히 명확하게 말하며 지남력을 인식시켰다.
2021. 03. 31, rounding 중 A환자가 스스로 억제대를 풀어 비강캐뉼라를 제거하려는 모습이 관찰됐다. 나는 대상자에게 억제대의 목적을 설명한 후 억제대를 다시 적용시켰다. 또한 핵심술기에 따라 비강캐뉼라를 적용시켰고 처방된 산소량이 맞는지 확인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