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산책 )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의 핵심을 정리하고, 맹자와 순자의 정치철학에 대해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02.25
- 최종 저작일
- 2021.0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의 핵심, 그리고 그들의 정치철학
(2) 장자의 철학에서 나타난 ‘변화’, ‘옳고 그름’, ‘자아에 대한 인식’, ‘삶에 대한 이해’의 관점이 공자의 철학과 다른 점
(3) 현대 우리의 삶에서 동양철학이 주는 의미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많은 이들이 소위 ‘동양의 철학’이라 일컫는 학문은 춘추전국시대에 일어난 학파들인 유가, 도가, 묵가, 법가 등의 제자백가(諸子百家)에서 비롯되었다. 물론 동양 철학을 제자백가의 사상에 한정지을 수는 없다. 불교 철학 역시 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송나라 때 새로이 나타난 성리학은 조선의 정치 이념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전자는 기본적으로 불교가 인도에서 성립되어 후대에 동아시아 삼국으로 전래되었다는 점, 후자는 제자백가의 주요 학문인 유학이 기본 바탕이 되었다는 점에서, 동양 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제자백가 사상을 공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춘추전국시대는 각 지역에서 일어난 여러 제후들이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
하던 중국 대륙의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였다. 권력자들의 관심사가 어떻게 해야 전쟁에 승리하고 부강한 나라를 만들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해야 민심을 얻고 백성들을 잘 다스릴 수 있는지에 집중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한편 불안정한 시대의 백성들은 어떻게 해야 더 나은 삶,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는지 강구했다. 이 글에서는 군주에게는 바르게 통치하는 법을, 백성에게는 바르게 사는 법을 제시하고자 했던 몇몇 사상가들의 생각을 정리하고자 한다.
2. 본론
(1)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의 핵심, 그리고 그들의 정치철학
오늘날 맹자와 순자의 사상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더라도, 그들에게서 비롯된 ‘성선설’과 ‘성악설’이라는 단어만은 인터넷 커뮤니티 등지에서도 자주 쓰일 정도로 유명하다는 걸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두 단어가 가진 의미의 대조에서 알 수 있듯, 맹자와 순자는 인간 본성에 대해 매우 상반된 견해를 펼쳤다.
참고 자료
김교빈 외, 『동양철학산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016)
김동민. "諸子百家의 성립과 분류에 관한 康有爲 『孔子改制考』의 접근법." 東洋哲學硏究 73.- (2013): 375-405.
김상래 ( Sang Rae Kim ). "철학 : 맹자와 순자의 인간이해, 그 윤리적 변별성." 溫知論叢 0.37 (2013): 249-274.
신정근. "맹자와 순자 사상의 결정적 차이." 東洋哲學硏究 67.- (2011): 117-146.
조치영(Cho Chi Young). "『장자』의 죽음관에 대한 고찰." 哲學硏究 139.- (2016): 239-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