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사 4가지 주제 (태그참조)
- 최초 등록일
- 2020.10.24
- 최종 저작일
- 2019.08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한국건축사 4가지 주제 (태그참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대 가람배치의 변천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서술하시오.
2. 향교와 서원의 제향공간과 강학공간에 대해 설명하시오. (배치, 건축물 종류와 기능 등)
3. 조선시대 서울의 위치선정에 반영된 풍수지리적 특징과, 주요 국가시설 건립에 영향을 준 예제의 내용을 서술하고, 이에 따라 건립된 단묘건축의 건축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4.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서울에서 진행된 도시계획 관련 사업들에 대해 서술하시오. (사업의 목표, 내용, 결과 등)
5. 일제강점기 문화주택 건설의 배경이 되는 ‘주택개량론’의 내용에 대해 서술하시오.
본문내용
가람이란 절의 건물을 말하고 승려들이 사는 사찰 등의 건축물입니다.
초기의 평지가람의 변천입니다. 순서로는 1탑 3금당식에서 1탑 1금당식 그리고 쌍탑식으로 진행됐습니다.
1탑 3금당식은 탑을 중심으로 좌우와 위쪽으로 금당이 배치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그 예로 고구려 청암리사지/ 정릉사지, 상오리사지 일본 아스카지, 신라 황룡사지 가 있습니다.
1탑 1금당식은 강당 금당 탑 문이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 예로 부여지역의 군수리사지, 동남리사지, 금강사지, 정림사지, 서복사지가 있고 익산지역의 미릇가지, 일본의 사천왕사, 법륭사가 있습니다. 일본 법륭사는 일직선이 아니라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쌍탑식은 탑이 두 개가 있는 배치로 금당과 문 사이에 있습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