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분만실실습 PTL 조기진통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20.03.01
- 최종 저작일
- 2014.11
- 3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여성간호학]분만실실습 PTL 조기진통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자료수집양식
1. 임부간호 자료수집 양식
Ⅱ. 자료수집양식
1. 임부간호 자료수집 양식
2. Clinical PBL(임상 에피소드 분석)
Ⅲ. 간호과정 양식
1. 간호진단 BOX
2. 간호과정 양식
Ⅳ. 여성건강 대상자 교육 계획안
본문내용
1. Nursing Narratives
대상자는 이XX님으로 만 33세(35세), PA27+3wks된 primi 산모로 twin pregnancy이며 PTL 진단 하에 10월 23일(24+6wks) 외래를 통해 입원했다.(1.1.1) 입원 당시 불규칙한 자궁수축이 있어 현재까지 lavopar를 IV 투약을 이어오고 있다. 산모의 산과력은 0-0-1-0이고, 유산 과거력은 2013년 missed abortion(계류유산)이다. 태아는 체외수정(시험관) 5차례 시도로 임신하였다. 산모의 특이사항은 B형 간염 보균자(중3때 진단)이다.(1.1.1)
오전 7시 10분 현재 입원 중인 대상자에 대한 인계를 듣고(3.3.2) 교육책임간호사 선생님과 함께 병실 라운딩을 돌았다. 라운딩 시 대상자는 fetal monitoring 중이었고 labor pain 및 수면양상을 사정(2.2.2)하고 IV site, fluid 주입속도(2.4.3) 부종정도 등을 확인하였다(1.2.1).(1.3.1) 대상자는 “입원 했을 때보다 배가 뭉치는 건, 괜찮은 거 같아요. 그런데 혈압이랑 체온 재는 거랑, 병원 불빛 때문에 잠을 설쳤어요.”라고 말했다. 또한 Lavopar의 부작용 인 심계항진, 진전, 안면홍조 등 이 있는지 대상자에게 물었고 대상자는 얼굴에 화끈거림이 있다고 대답했다.(2.4.4)
< 중 략 >
2. Clinical PBL(임상 에피소드 분석)
문제
1. 불규칙한 자궁수축
2. B형간염보균자
3. 고위험산모 (고령산모 (만 33세), 쌍생아 임신 중)
4. 임신 2기(27+3wks)
5. 체외수정 (IVF ET #2)
6. 입원 후 태교를 못하고 있는 상태임
7. 태아상태에 대한 불안
가설
1. 입원 중에도 태교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2. 고령 및 쌍태임신은 태아와 산모에게 영향을 미칠 것 이다.
3. B형간염 보균자 산모는 모유수유를 통해 신생아의 B형간염 감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조기수축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김현숙외(2011).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1, 수문사
김영희외(2013). 모성신생아, 여성건강간호학 1. 신광출판사
김영희외(2013). 모성신생아, 여성건강간호학 2. 신광출판사
차영남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서울대학교 병원(2000)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남초 외(2006) 간호중재. 현문사
이은옥 외(1992)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수문사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장옥자 외(1997) 임상기본간호학.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www.snubh.org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세브란스 병원, http://sev.iseveranc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