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학교 건설공정 기말 요약
- 최초 등록일
- 2019.03.14
- 최종 저작일
- 2017.04
- 8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8장
● BDM기법의 기본개념과 원리
- 선•후행 작업간 연결관계를 선행작업 중간 임의의 시점에서 후행작업 중간 임의의 시점으로 최단거리의 직선으로 표시
- 시점들간 가장 가까운 거리를 작업 진행방향의 화살표를 갖는 직선으로 연결하는 데 이러한 화살표 직선을 Beeline로 정의
- 특징
➢ 선•후행 작업 중간 어느 시점에서도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선•후행 작업간 중복관계가 단순화 됨
➢ 선•후행 작업간 다중 연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기간이 길며, 다중의 중간완료 시점을 갖는 선•후행 작업간 복수의 연계관계 표시가 가능
➢ 두 연속되는 작업들간의 단 하나 또는 복수의 중복관계를 어떠한 상황에서도 단 하나 또는 복수의 Beeline으로 표시
9장
● 자원배분이란
- 가용규모를 초과하는 자원을 가용규모 이하가 되도록 자원을 배분
● 자원평준화란
- 자원의 봉우리 부분을 계곡부분으로 이동시켜 전체자원을 평준화
● 작업논리 변경에 의한 자원문제 해결
- 자원문제가 발생 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이 논리변경에 의한 방법
- 당연논리
➢ 작업의 순서를 반드시 지켜야 하는 작업논리
- 선택논리
➢ 작업환경이나 작업조건에 따라 작업순서의 변경이 가능한 작업논리
- 대부분의 경우 작업논리의 변경만으로 자원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함으로 작업논리를 변경하지 않고 자원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
- 작업논리를 변경으로 인해 공정계획의 재수립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 작업논리 변경 없이 자원문제 해결
- 작업이 보유한 여유시간 내에서 작업을 이동시키면서 자원문제를 해결하는 접근
- 공기연장이 가능한 일수를 감안하거나, 하나의 작업을 여러 작업으로 분할
- 자원문제로 공기를 연장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복잡한 일이므로 가능하면 계약공기 내에서 자원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
● 최소 모멘트 기법
- 공기 축을 중심으로 자원 히스토그램이 최소의 모멘트를 갖도록 자원을 배분하고 평준화 시키는 방법
● 최소모멘트 기법에서 자원의 배분순서
- 주공정선상의 작업들에게 최우선적으로 자원 배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