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와 노동자계급
- 최초 등록일
- 2018.11.23
- 최종 저작일
- 2016.10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경제학의 역사
Ⅱ. 자본주의
1. 자본주의 시대의 도래
2. 자본주의 안에서의 노동
Ⅲ.결론
본문내용
현재 까지 이어져온 경제학의 역사를 바라보면 그리 순탄치만은 않음을 볼 수 있다. 18세기 은행과 화폐업의 등장과 더불어 18세기 말에는 산업혁명이 일어났고, 이후 고전학파가 등장했다. 고전학파의 탄생을 이끈 스미스는 경제적 노력을 통한 개인의 이익 추구, 가격이 노동량에 의해 결정된다는 노동가치설을 언급하였다.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시장질서 유지는 현재까지도 자유주의 시장 경제 체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는 국내 상업과 국제 무역의 자유화를 역설하기도 하였다. 이후 맬서스와 리카도가 등장했는데 리카도는 노동량에 의해 교환 가치가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에 반해 보호무역주의를 주장하는 사람들도 존재했다. 대표적 인물로 독일인 리스트이다. 그는 자유무역 조취를 취해 시장을 개방할 경우 영국 산업의 경쟁력 우위로 인해 독일 내 산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프랑스인 시스몽디는 한계 효용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고 보았는데 이 밖에도 소득과 권력의 불평등, 분배의 불평등, 공황과 불황에 관한 언급을 했다. 이는 곧 칼 마르크스의 등장을 예견해 주는 언급이다. 미국의 경우 고전학파와 스펜서주의의 영향력이 지대했다. 헨리 조지와 배블런이 고전파를 비판하며 개량을 추구한 것이다. 이후 미국의 경제공황이 터졌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고전파는 불황의 이론을 결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균형이론에 따른 자연스런 회복을 주장하였다. 허나 루즈벨트는 물가하락, 실업, 빈곤층의 곤궁을 목도하며 정부의 개입을 해결책으로 내놓았다. 금 보유를 금지하고 금 매입 등을 통해 통화 확대 정책을 시행하기도 하였다. 이후로 세계 2차 대전이 발발하였고 케인즈의 영향력이 더욱 커져 정부의 시장 개입 역시 더욱 확대되었다. 하지만 이는 물가 인상과 인플레이션 문제를 야기 시켰다. 프리드만은 이를 위해 화폐 정책을 제시하였으며, 이후 통화 정책을 경기 조절의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이후 신고전학파가 대두하게 되는데 신고전학파는 개인주의, 균형론, 조화론을 표방한다. 그렇기에 경기 상승 및 후퇴 역시 일시적 불균형으로 여기고 시장의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균형이 회복된다고 본다.
참고 자료
자본주의, 어떻게 우리 일상에 스며들었나(2011)
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 리오 휴버먼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경제학의 역사(갤브레이스가 들려주는)’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