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댄스스포츠 수행이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와 대퇴직근 두께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승*
최초 등록일
2014.08.20
최종 저작일
2012.10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설계
3. 댄스스포츠 수행 프로그램
4. 측정 도구 및 방법

Ⅲ. 결과
1. 골밀도의 변화
2. 대퇴직근 두께의 변화
3. 근육량의 변화
4. 지방량의 변화

Ⅳ. 논의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골다공증(Osteoporosis)은 대사성 골 질환의 하나로 골 강도의 손상으로 인하여 골절의 위험이 증가하는 골격계 질환으로 정의된다. 골량은 30세 전후에 최고치를 나타내며, 척추골의 경우 폐경 후 처음 1년간에는 가속화되어 4 - 5%, 이후에는 연간 1 - 2%의 감소율을 보인다(Nilas & Christiansen, 1988).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으로 인한 난소기능의 저하는 에스트로겐을 감소시켜 골 소실률이 남성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신윤정, 2010). 폐경 후 3년 이내에 가장 빠른 속도로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 감소가 진행되며, 폐경이후 40대 후반에서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의 평균 감소율이 10년에 약 9%에 이르게 된다(Gardner, Gallagher, Datta &, Trentin, 1980). 폐경이외의 위험인자로는 연령, 약물, 불충분한 칼슘섭취, 만성질환, 운동부족 및 영양섭취, 신체적 활동, 성호르몬 등이 관여한다(Nguyen, Center, & Eisman, 2000).
골다공증은 비가역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중 략>

Jive를 통한 댄스스포츠 수행 전?후 폐경기 여성들의 골밀도와 대퇴직근의 두께 변화 및 신체의 근육량과 지방량을 분석한 본 연구 결과 모든 요인에서 DG의 경우 댄스스포츠 수행 결과, 수행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게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반면, CG의 경우 사전과 사후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덕자(2006)가 댄스스포츠가 중년 직장 남성들의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보고한 내용과 같은 결과이다. 또한 댄스스포츠는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시작할 수 있는 운동으로 무릎이나 발목관절의 근육을 적절히 단련시켜 골다공증의 예방과 관절의 노화는 물론 몸 전체의 운동능력의 저하를 막아주고 비만의 예방과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김경례(2004)의 주장을 뒷받침 하고 있다.

참고 자료

권정현, 최철순(2006).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고령여성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소 및 골밀도(T-score)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5(4). 611-619.
김경래(2004). 댄스스포츠 진흥방안. 체육연구논문집. 11(1). 15-26.
김정현, 최윤선, 홍명호, 박용준, 김정아, 이철호, 최기문, 이경옥(2003). 노인여성에서 아쿠아로빅 운동이 혈청 MDA 및 총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3(2). 94-101.
김상두, 임은미(2011). 12주간 음악줄넘기 운동이 정신장애여성의 신체구성, 하지근력과 골밀도(T-score)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9(4). 94-103.
김영준, 윤영학(1999). 유산소 운동이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7(2). 385-394.
김성아, 송영은, 이진오, 강상조(2005). 보행계수기를 이용한 댄스스포츠(차차차, 자이브)의 에너지 소비량 추정.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7(2). 75-88.
김형준, 이만균, 성순창(2010).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혈중 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9(3). 321-330.
김효정, 안문용, 김창근(2003). 장기간의 운동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폐경 전 중년여성의 체간부위 근육군의 발달 형태. 한국체육학회지. 42(6). 741-748.
남덕현(2012). 주관적 신체활동 질문지를 이용한 신체활동에 따른 폐경기 여성들의 신체조성, 체력, 골밀도 평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4(1). 45-58.
박계순(1997). 댄스스포츠와 건강생활. 댄스스포츠발전세미나: 한국댄스스포츠연맹.
신명희(2010). 중년여성에 있어서 하타요가와 BCAA섭취가 복근 크기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신윤정(2010). 장기간의 골다골증 예방운동이 노인의 인체부위별 골밀도 수준에 미치는 효과. 코칭능력개발지. 12(2). 247-257.
송명숙, 최종인(2006). 댄스 스포츠가 남, 여 고등학생의 체력요소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8(1). 89-98.
오수일, 신혜숙, 황예선(2012).무용과 댄스스포츠 전공별 여중생의 신체구성 및 체력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26. 135-144.
유재현, 박은경, 유광욱(2011). 폐경 전,후 여성의 운동 및 음주습관에 따른 골밀도와 체력에 관한 연구. 운동과학. 20(1). 27-34
유정희, 채정룡, 김형준(2009). 댄스스포츠 운동이 노인의 체력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6(2). 699-714.
장세희, 황병덕, 윤희정, 이성국(2009). 운동프로그램이 농촌여성의 악력, 균형 그리고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5). 214-223.
황예선(2009). 댄스스포츠가 중년비만여성의 신체구성, 골밀도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9).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8th ed). Lea & Febige:;philadelphia. PA.
Colleran, P. N., Wilkerson, M. K., Bloomfield, S. A., Suva, L. J., Turner, R. T., & Delp, M. D. (2000). Alternations in skeletal perfusion with stimulated microgravity : A possible mechanism for bone remodeling. J. Appl. Physiol, 89. 1046-1054.
Gardner, F. H., Gallagher, M. T., Datta, S. K., & Trentin, J. J. (1980). The abrogation of in vivo resistance to parenta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d of in vitro natural cell-mediated cytotoxicity to the YAC lymphoma by in vivo growth of a transformed thymus-derived cell culture. Exp Hematol, 8(8). 1040-1047.
Iwamoto, J., Takeda, T., & Ichimura, S. (2001). Effect of exercise training and detraining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J. Orthop. Sci, 6(2). 128-132.
Ji, L.L. (1995). Exercise and oxidative stress: Role of the cellular antioxidant systems. In: Exercise and Sport Science Review, edited by Journal. Hollozsy. Baltimore, MD: Williams & Wilkins, 23(1). 135-166.
Karlsson, M. K., Johnell, O., & Obrant, K. J. (1993). Bone mineral density in weight lifter. Calcif Tissue Int, 52(3). 212-215.
Kenis, J., Melton, Christiansen, Johnston., & Khaltaev. (1994).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s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of a WHO report. Osteoporos Int, 4. 368-381.
Korkia, P.(2002). Osteoporosis: process, prevention and treatment. J Body work and Movem Therap, 6(3). 156-169.
Kriketos, A. D., Sharp, T. A., Seagle, H. M., Peters, J. C., & Hill, J. O. (2000). Effects of aerobic fitness on fat oxidation and body fatness. Med Sci Sports Exerc, 32(4). 805-11.
Mitchell, M. A., & Kettewell, P. J. (1998). Physiological stress and welfare of broiler chickens in transit. Poult Sci, 77(2). 1803-1814.
Morel, j., Combe, B., Francisco, J., & Bernard J. (2001). Bone mineral density of 704 amateur sportsmen involved in different physical activities. Osteoporos Int. 12. 152-157
Nguyen, T. V., Center J. R., & Eisman, J. A., (2000). Osteoporosis in elderly men and women-effects of dietary calcium,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J Bone Miner Res, 15. 322-331.
Nilas, L., & Christiansen, C. (1988). Rates of bone loss in normal women: evidence of accelerated trabecular bone loss after menopause. Eur J Clin Invest 18. 529–534.
Tolomio, S, Ermolao, A, Lalli, A, & Zaccaria M. (2010). The effect of a multicomponent dual-modality exercise program targeting osteoporosis on bone health status and physical function capacity of postmenopausal women. J Women Aging. 22(4). 241-254.
*승*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댄스스포츠 수행이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와 대퇴직근 두께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