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새만금 간척사업 찬성 발표문
- 최초 등록일
- 2003.06.03
- 최종 저작일
- 2003.06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토론 시, 찬성 발표문으로 사용하세요..
저는 A+ 받았답니다.
탄탄한 구성, 기발한 논거들이 담겨있어요..
목차
경제성 문제
1. 식량 안보의 문제- 농지 확보
2. 물 부족 해결
3. 교통 및 관광상의 편익
4. 종합적 경제성 평가
갯벌의 가치문제
1.새만금 갯벌의 이해
2.간척공사 후 갯벌이 새로이 형성될 것임
수질문제
1. 시화호와 비교한 차별성
2. 수질 개선을 위한 정부적 차원의 대책 추진 가능
향후대책
1. 공사 중단시 발생하는 엄청난 규모의 손실 고려
2. 새만금 간척 사업의 조감도
Q&A
본문내용
우리는 지난 '73년 식량위기때 세계적으로 우리가 먹는 중단립종 쌀의 생산량이 불과 5%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2~3배가 폭등한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남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북한의 논면적이 작다는 점을 고려할 때, 통일을 대비해서라도 우량농지의 확보는 아주 중요한 과제입니다. 현재 재고가 6년 연속 풍년과 최소수입물량(MMA) 수입, 쌀 소비감소 등으로 적정재고량을 넘고 있지만 이 물량을 항상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단기적인 쌀수급문제가 아닌 미래농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우량농지를 미리 만드는 것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92년 쌀 재고량이 1,470만석이었지만 3년간 작황이 좋지 않자 96년도에는 우리 국민이 1달도 먹지 못하는 160만석까지 감소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국내외적 여건을 고려할 때 쌀 자급기반 유지와 국제경쟁력 제고 등을 위해서는 새만금과 같은 집단화■규모화된 우량농지의 확보가 시급하며, 우리국민 150만명이 1년동안 먹을 쌀을 경쟁력을 갖추어가면서 소득을 올리고 공급할 수 있는 농지를 확보하기 위한 새만금사업은 당초 계획대로 계속 추진되어야 합니다.
또한 새만금사업은 식량안보와 함께 수자원의 확보를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
http://www.ma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