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러일전쟁과 을사조약에 대한 조선 내부의 대응 - 유생들과 기타 백성들을 중심으로

의대생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03.31
최종 저작일
2013.03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러일전쟁과 을사조약에 대한 조선 내부의 대응 - 유생들과 기타 백성들을 중심으로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러일전쟁과 을사조약에 대한 조선 내부의 대응 - 유생들과 기타 백성들을 중심으로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러일전쟁과 을사조약에 대한 조선 내부의 대응 - 유생들과 기타 백성들을 중심으로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러일전쟁과 을사조약에 대한 조선 내부의 대응 - 유생들과 기타 백성들을 중심으로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1. 서론

2. 일본군의 압력
1) 군율 시행과 군사경찰 운용
2) 군용지 수용
3) 인력 동원

3. 유생들의 대응
1) 대응양태: 상소, 자결, 통문, 거의, 거수, 외교
2) 현실인식과 대응논리

4. 기타 백성들의 대응
1) 대응양태: 시설파괴, 집단항쟁ㆍ의병운동, 부일, 피난, 종교활동
2) 현실인식과 대응논리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일본 군당국은 제3국이자 비교전국인 한국의 민간인에게 군율을 적용시켜 군사경찰에 의한 군정과 통제를 실시하였고, 토지를 강제 수용하였으며, 인력을 동원했다. 각종 저항운동을 진압했던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이러한 행위들은 전국 백성들이 국권상실의 실상을 감각적으로 체험하게 해주었다. 그들의 황무지개척권 요구나 통감부의 경제정책도 국권침탈의 실상을 인식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직접적인 물리력을 행사했던 폭력집단으로서의 군대와 경찰의 역할에 더 주목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반일감정이 고조되고 항일운동의 시대가 열렸다. 1904년에는 백성들의 비조직적인 저항운동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1905년부터 의병전쟁이 시작되고 을사조약을 계기로 1906년에 본격화되었다.
러일전쟁과 을사조약에 대한 한국인의 대응양태는 학계에서 주로 신분별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신분별 대응양태를 종합ㆍ비교한 경우와 崔永禧, 「乙巳條約 締結을 前後한 韓國民의 抗日鬪爭」, 『史叢』12, 1968; 鄭昌烈, 「露日戰爭에 대한 韓國人의 對應」, 歷史學會 編, 『露日戰爭前後 日本의 韓國侵略』, 一潮閣, 1986; 구대열, 「디모클레스의 칼?-100년 후 돌아본 러일전쟁의 의미」, 『러일전쟁과 동북아의 변화』, 선인, 2005; 조재곤, 「1904~5년 러일전쟁과 국내 정치동향」, 『國史館論叢』제107집, 2005.
특정 대상을 한정해서 고찰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의병운동에 관한 다수의 논문들을 제외하고, 다음의 논문들을 들 수 있다. 김도형, 「한국근대 재야지배세력의 민족문제 인식과 대응」, 『역사와 현실』제1호, 1989; 서영희, 「러일전쟁기 대한제국 집권세력의 시국대응」, 『역사와 현실』제25호, 1997; 송지연, 「러일전쟁이후 일제의 軍用地 收用과 한국민의 저항-서울(용산), 평양, 의주를 중심으로」, 『이대사원』제30집, 1997; 조재곤, 「대한제국 말기(1904~1910) 褓負商 단체의 동향」, 『北岳史論』5, 1998; 柳永烈, 「韓末 愛國啓蒙運動과 尹致昊」, 『史學硏究』제38호, 1999; 權九熏, 「대한제국기 일본군의 침략과 민족의 저항」, 건국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백동현, 「러,일전쟁 전후 `민족` 용어의 등장과 민족인식-『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 』를 중심으로-」, 『韓國史學報』제10호, 2001; 金鍾俊, 「進步會ㆍ一進支會의 활동과 鄕村社會의 동향」, 『韓國史論』48, 2002; 최기영, 「러일전쟁 발발 직후 지식인의 정치개혁론」, 『한국 근대 계몽사상 연구』, 일조각, 2003; 홍순권, 「‘을사늑약’ 전후 개화 지식인들의 정국인식과 대응」, 『한국독립운동사연구』제24집, 2005; 현광호, 「열강에 의존한 중립화의 한계, 러일전쟁과 고종」, 『내일을 여는 역사』겨울호(제26호), 2006.

참고 자료

崔永禧, 「乙巳條約 締結을 前後한 韓國民의 抗日鬪爭」, 『史叢』12, 1968.
宣君星ㆍ趙恒來, 「舊韓末 抗日救國女性運動-乙巳抗爭과 國債報運動을 中心으로-」, 『女性問題硏究』5ㆍ6, 1976.
裵勇一, 「山南義陳考-鄭煥直ㆍ鄭鏞基 父子 義兵將 活動을 中心으로-」, 『韓國學報』10, 1984.
朴贊勝, 「活貧黨의 활동과 그 성격」, 『韓國學報』10, 1984.
鄭昌烈, 「露日戰爭에 대한 韓國人의 對應」, 歷史學會 編, 『露日戰爭前後 日本의 韓國侵略』, 一潮閣, 1986.
趙東杰, 「義兵運動의 韓國民族主義上의 位置(上)」, 『한국민족운동사연구』1, 1986.
김도형, 「유생의병장 무엇 때문에 싸웠나」, 『역사비평』가을호(통권 4호), 1988.
趙恒來, 「一進會의 背後關係」, 숙명여대, 『論文集』28, 1988.
김도형, 「한국근대 재야지배세력의 민족문제 인식과 대응」, 『역사와 현실』제1호, 1989.
趙東杰, 「義兵運動의 韓國民族主義上의 位置(下)」, 『한국민족운동사연구』3, 1989.
姜在彦, 「反日義兵運動의 歷史的 展開」, 『義兵戰爭硏究(上)』, 지식산업사, 1990.
金度亨, 「韓末 義兵戰爭의 民衆的 性格」, 『義兵戰爭硏究(上)』, 지식산업사, 1990.
柳漢喆, 「中期義兵時期(1904-1907) 柳麟錫의 時局對策論」, 『한국독립운동사연구』제4집, 1990.
李離和, 「韓末 儒生層의 現實 認識과 義兵鬪爭-崔益鉉의 思想과 政治活動을 中心으로」, 『國史館論叢』15집, 1990.
鄭在貞, 「大韓帝國期 鐵道建設勞動者의 動員과 沿線住民의 抵抗運動」, 『韓國史硏究』73, 1991.
유한철, 「中期義兵史(1904-1907)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근현대사연구』제1집, 1994.
김도형, 「한국근대사에서 자주 독립의 의미」, 『역사비평』여름호(통권 31호), 1995.
잭 런던, 『잭 런던의 조선사람 엿보기: 1904년 러일전쟁 종군기』, 한울, 1995.
鄭濟愚, 「韓末 中期義兵의 性格-露日戰爭 以後 ‘乙巳五條約’ 前後하여-」, 『한국독립운동사연구』제9집, 1995.
洪英基, 「韓末 湖南義兵의 特性과 對應」, 『全南史學』제10집, 1996.
송지연, 「러일전쟁이후 일제의 軍用地 收用과 한국민의 저항-서울(용산), 평양, 의주를 중심으로」, 『이대사원』제30집, 1997.
엄찬호, 「高宗의 對義兵 密勅硏究」, 『한일관계사연구』제7집, 1997.
崔起榮, 「共進會와 反一進會 운동」, 『韓國近代啓蒙運動硏究』, 一潮閣, 1997.
홍영기, 「한말 泰仁義兵의 활동과 영향」, 『全南史學』제11집, 1997.
조재곤, 「대한제국 말기(1904~1910) 褓負商 단체의 동향」, 『北岳史論』5, 1998.
김경빈, 「淸ㆍ日과 露ㆍ日戰爭시 在韓外國 宣敎師들의 反應-佛蘭西 선교사들과 美國 선교사들의 종교ㆍ문화ㆍ외교적 立場에 관한 比較 硏究-」, 『현대와 신학』제24호, 1999.
權九熏, 「대한제국기 일본군의 침략과 민족의 저항」, 건국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신주백, 「병합전 일본군의 조선주둔」, 『역사비평』봄호(통권 54호), 2001.
조동걸, 「光武農民運動과 申乭石 義兵」, 『한국근현대사연구』제19호, 2001.
김순덕, 「京畿地方 義兵運動 硏究(1904~1911)」, 한양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金鍾俊, 「進步會ㆍ一進支會의 활동과 鄕村社會의 동향」, 『韓國史論』48, 2002.
金祥起, 「한말 의병연구의 동향과 새로운 모색」, 『淸溪史學』18, 2003.
김순덕, 「경기의병의 현실인식과 지향」, 『역사연구』13호, 2003.
오영섭, 「여흥민씨척족과 한말의병」, 『한국근현대사연구』제31집, 2004.
李恩淑, 「1905~10년 洪州 義兵運動의 硏究」, 숙명여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4.
구대열, 「디모클레스의 칼?-100년 후 돌아본 러일전쟁의 의미」, 『러일전쟁과 동북아의 변화』, 선인, 2005.
吳瑛燮, 「고종 측근 심상훈과 제천지역 의병운동과의 연관관계」, 『한국근현대사연구』제35집, 2005.
조재곤, 「1904~5년 러일전쟁과 국내 정치동향」, 『國史館論叢』제107집, 2005.
金祥起, 「1906년 洪州義兵의 홍주성 전투」, 『한국근현대사연구』제37집, 2006.
배항섭, 「중ㆍ후기 의병전쟁 시기 나주 지역 향리층의 동향」, 『한국사학보』제23집, 2006.
의대생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러일전쟁과 을사조약에 대한 조선 내부의 대응 - 유생들과 기타 백성들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