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 이완용의 생애와 활동 및 시대상황에 입각한 평가 [한국 역사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11.12.03
- 최종 저작일
- 2011.11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한국 역사의 이해 수업 때에 작성한 친일파 이완용의 생애와 활동 및 평가 그리고 왜 이완용이 친일파가 되었는지를 조사한 자료입니다. 관련된 인터넷보다는 문헌을 보고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레포트보다는 훨 씬 좋을 겁니다.
목차
1. 과제를 작성하기에 앞서
2. 생애 및 활동
1) 유년시절
2) 관직에 진출
3) 1890년대 활동
4) 1900년대 활동
5) 1910년대~1920년대 활동
6) 사후
3. 평가
4. 이완용과 관련된 사항
5.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본문내용
2) 관직에 진출
1882년, 25세 나이로 증광문과(增廣文科)별시에 병과(丙科)로 급제 한 후, 3년 만에 정3품직에 오르면서 왕세자 순종을 가르치기도 했으며, 순종과 사제관계 맺기도 한다.
규장각 대교 검교, 홍문관 수찬, 동학교수, 우영군사마, 해방영군사마(海防營軍司馬) 등을 거쳐서 1886년, 육영공원(育英公院)에 입학하여 영어를 배우면서 해외에 대한 식견을 접하여 넓히게 되었고, 사헌부 장령, 홍문관 응교 등의 벼슬을 지내었다. 1887년에는 주차미국참찬관(駐箚美國參贊官)으로 도미했다.
1888년 음력 5월에 귀국하여 이조참의를 지냈다. 1888년 음력 12월에 다시 참찬관으로 미국에 갔다가 1890년 음력 10월에 귀국하여 대사성(大司成)·교환서총판(交換署總辦)을 역임하였으며, 우부승지, 내무참의, 성균관 대사성, 공조참판, 육영공원 판리, 외무협판 등을 관리직을 거쳐서 조선에 개혁적인 교육정책을 주도하였다. 그는 성균관을 개편하고, 지리, 산술, 과학등 선진 기술을 위한 과목을 신설하였으며, 정기적인 시험 제도, 기본적인 의무교육 제도까지 완비하는데 주도했는데, 이는 역사상 최초로 근대적인 초등교육의 의무화와 그 체계의 제도화, 근대적인 교사 양성사업 같은, 한국 근현대 교육사에 획을 긋는 자취를 남긴 것이었다. 1895년 음력 5월 학부대신,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이 되었다. 또한, 주미 공사로서 2년을 지내기도 하였다.
참고 자료
이완용 평전 [김윤희 저, 한겨레 출판사 출판]
이완용을 쏴라 [김상현 저, 우원북스 출판]
초등학생을 위한 인물 사전 [돋움자리 저, 시공주니어 출판]
네이버 백과 사전
위키 백과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