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미국경제 흐름에 대한 진단
경제지표 호전에도 불구하고 경제불안 지속
경제지표 호전에도 불구하고 경제불안 지속
경기회복 판단은 시기상조
현 하강국면의 특징
역의 부 효과(negative wealth effect)
Ⅱ. 향후 미국경제 종합 판단
금리인하로 경기 회복의 기대감 고조
하반기중 완만한 회복세로 돌아서는 U자형 경기회복
본문내용
지난 수년간 미국 기업은 수익창출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바탕으로 투자를 확대했고 그 결과, 노동생산성의 지속적 증가와 고성장이 가능했음. 반면 기업 수익 악화 전망은 노동생산성 증가둔화와 장기적 성장 침체로 연결될 수 있음. 2001년 1/4분기 S&P 기업의 이익은 전분기 대비 8.4%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는 데 향후 경제전망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음
- 최근까지는 민간소비보다는 설비 투자의 축소가 경기하강을 주도
·2000년 4/4분기 경제성장률 1%중 민간소비 기여도는 1.87%인 반면, 민간투자는 -0.78%
- 향후에는 주식가격의 하락이 역의 부효과(negative wealth effect)를 통해 경기불안을 가중시킬 가능성
·1995년 상반기도 경제성장률이 1% 미만으로 둔화되는 등 경기침체가 우려되었으나, 현재와는 달리 나스닥지수가 동기간중 9.4% 상승하는 등 호조를 보였음. 결국 하반기 성장이 3.1%를 기록하며 회복에 성공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