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갈에 관한 이해
- 최초 등록일
- 1999.10.19
- 최종 저작일
- 1999.10
- 4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 말갈기록 검토
(1). 중국사에서의 말갈
(2). 《삼국사기》의 말갈
2. 중국 동북방 이민족에 대한 범칭 비칭
3. 고구려 변방인에 대한 범칭 비칭
(1). 종족계통상의 고구려와 말갈
(2). 정치 군사상의 고구려와 말갈
발해 건국 세력의 종족계통
1. 발해의 건국과정 검토
2. 대조영의 출자문제: 고려별종과 속말말갈설
3. 걸걸중상과 걸사비우
본문내용
발해의 주민구성을 푸는 열쇄이자, 발해사의 가장 큰 수수께끼인 [靺鞨]이 역사상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북제서》<무성제기>이며, 그것이 정식으로 외국열전에 입전되기 사작한 것은 《수서》<동이, 말갈전>부터였다. 그런데 《수서》로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말갈은 그 거주 지역이 종래 말갈의 선조로 이해하여 왔던 肅愼 婁 보다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삼국사기》에도 그 이름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삼국사기》에서의 말갈은 《북제서》이전의 B.C년간으로부터도 나오고 있지만, 이것이 곧 말갈의 원래 모습이라고는 할 수 없다. 아무래도, 《수서》등의 말갈을 본래의 것으로 보는 것이 보다 진실에 가까우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우선 말갈의 선조로 알려진 肅愼 婁 勿吉 등을 살펴 보아야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