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충 유전체 비교 분석을 통한 식물기생선충의 공통 유전자 발굴 및 특성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28권 / 2호
ㆍ저자명 : 머니 비말라즈, 최강현, 스부라마니안 파르티반, 이창묵, 심준수, 정하영, 최인찬, 구자춘, 한범수
ㆍ저자명 : 머니 비말라즈, 최강현, 스부라마니안 파르티반, 이창묵, 심준수, 정하영, 최인찬, 구자춘, 한범수
목차
재료 및 방법선충 유전체 자료 수집
유전자 예측
종간 서열 분석 및 공통 유전자 탐색
단백질 특성 및 기능 분석
결과 및 고찰
식물기생선충 유전체로부터 유전자 갯수 결정
식물기생선충의 공통 유전자 선별
식물기생선충의 공통 단백질 특성 비교 분석
적 요
REFERENCES
영어 초록
Plant-parasitic nematodes are the most devastating group of plant pathogens worldwide and are extremely challenging to control.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performed a genome wide analysis to identify common genes among four nematode species consisting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incognita and Meloidogyne hapla), cyst nematode (Heterodera glycines), and free living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respectively. Using their whole genome sequences, we predicted 15,274 genes from M. incognita, 38,149 genes from M. hapla, 8,061 genes from H. glycines and 23,894 genes from C. elegans, where, among the predicted genes, 1,358, 1,350, 1,401, 1,365 respectively from each nematode, code for common groups of proteins. Further, 2,067, 2,086, 1,566, 2,903 genes were recollected using Clusters of Orthologous Groups (COG) database. Under our search criteria, a total of 800 common genes were identified in all the four studied nematode genomes. The most annotated conserved genes were obtained from four different species using Basic Local Alignment Searching Tool (BLAST). Uni- Prot Taxon identifier database was used to elucidate their taxonomic classification such as 698 genes under kingdom Metazoa, 660 genes confined to Nematoda, 290 genes in Chordata and 660 genes falling under class Chromadorea. The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roteins expressed by these genes was examined using Pedant-Pro sequence analysis. The protein length, molecular weight, isoelectric point (pI), and transmembrane domain of the coded proteins were at a range of 300 to 999 amino acids (40.9%), molecular weight of over 100 kDa (96%), pI from 4.5 to 5.5 (27.6%) and 0 (56.6%), respectively. To classify protein function, the obtained BLAST hits were assigned to Gene Ontology classification scheme. The fractions of protein function were distributed as cellular component, biological processes and molecular function of the cell (22.2%), multicellular organism process (15.8%) and binding (48.3%), respectively. The current study provides an excellent resource for nematode functional genomics studies, which can be utilized further for studies on role of genes involved in nematode biological processes.참고 자료
없음"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의 다른 논문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 기준과 평가 지표의 개발9페이지
폐MDF의 아염소산나트륨 전처리에 따른 효소당화 효율6페이지
새만금 간척지에서 밭토양 피복방법에 따른 염분 이동 특성 변화7페이지
가축사료 및 그 원료에 대한 DNA 추출방법의 효율 비교9페이지
‘청산’ 적포도주의 품질특성6페이지
포도 착색기 적엽처리에 의한 적색계 포도 ‘홍이슬’ 품종의 착색 향상 효과6페이지
아열대채소 공심채 시설재배시 관수개시 토양수분포텐셜에 따른 생육 및 수량4페이지
상추 유전자원의 기능성 쓴맛성분 함량 변이7페이지
고구마 생장점 배양 유래 바이러스 무병 유식물체 증식을 위한 액체배양 효과5페이지
고구마 품종별 삽식 및 수확 시기에 따른 괴근 수량과 품질 특성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