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의 성공적 창업을 위한 창업교육 전략 개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기업교육연구 / 18권 / 1호
ㆍ저자명 : 이용희, 홍광표, 정유섭, 박수홍
ㆍ저자명 : 이용희, 홍광표, 정유섭, 박수홍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성공적인 창업과정을 거친 창업자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 벤처기업 창업을 위한 성공적인 창업교육 전략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하였다. 연구목
적의 달성을 위하여 먼저 창업 성공자의 직무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직무유형 중에 우세
한 유형을 지닌 창업자를 선별하여 이들에게 창업교육을 위한 전략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벤처기업 창업자의 유형은 창업가적 창의성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
전략은 크게 교육내용적인 측면과 교육방법적인 측면으로 나누었다. 교육 내용적 측면은 ‘확
고한 비전과 목표’, ‘도전정신’, ‘판단력’, ‘통찰력’, ‘일에 대한 열정과 의욕’이었고, 교육 방법적
측면은 ‘경험 중심의 교육’, ‘사전 인턴 제도 운영’, ‘성공요인에 대한 사전 측정’이었다. 본 연
구의 결과는 향후 창업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침을 제공하는 데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창업교육전략은 벤처창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ories of successful venture founders who have alreadybeen through the startup process and uncover the successful ventur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trategies.
To accomplish this goal, we analyzed the types of duties of successful entrepreneurs. Next, we sorted the
founders’ duties to find the dominant type of duties and verified the strategies these persons ha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 found that, first, for venture entrepreneurs, “entrepreneurial creativity” is
the most prevalent. Secon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trategy was broadly divided into educational
content and the educational method. Aspects of educational content comprise “firm vision and goals,”
“spirit of challenge,” “judgment,” “insight,” and “passion and willingness to work.” Aspects of educational
method comprise “experience education center,” “management of pre-internship,” and “pre-measurement of
the success factors.” The significant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guidelines for
and develop programs for the futur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ddi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trategy should be applicable to the field of venture entrepreneurship.
참고 자료
없음"기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중소제조기업 관리자의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분석 - 자동차 부품산업을 중심으로 -34페이지
재직근로자의 훈련 참여동기와 훈련만족도, 학업성취도 및 현업적용 예상도의 관계30페이지
대학수업에서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에 기초한 HRD(인적자원개발) 사례연구: 창의성을 중심으로25페이지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적용한 공군 피복지원체계 개선 연구22페이지
HRD담당자의 직무특성과 업무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Job Crafting)의 매개효과26페이지
기업인적자원개발제도 디커플링 현상에 미치는 영향요인26페이지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내학술논문을 중심으로33페이지
한국대기업의 해외지역전문가 운영현황과 육성방안에 관한 사례연구23페이지
대기업 근로자의 내재적 동기가 일터 유희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30페이지
플랜트산업 직장인의 자기지향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관계갈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3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