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교육정보공개법의 정책 목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01
2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4권 / 3호
저자명 : 양희준

목차

Ⅰ. 서론
Ⅱ. 교육정보공개법 정책 목표의 맥락적 이해
Ⅲ. 교육정보공개법안의 ‘표방된 정책 목표’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교육정보공개법의 정책 목표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교
육정보공개법안의 정책 목표를 맥락적으로 파악해 본 다음, 이를 명시적으로 표방된 정책
목표의 실제 의미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정보공개법안의 정책 목
표를 동반 발의 법안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해 본 결과, 그것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의 공시
를 통한 학교 간 경쟁 유발로 나타났다. 교육정보공개에 관련된 선행 담론을 통해 볼 때, 교
육정보공개법안이 전제하고 있는 교육 문제는 교육에 대한 ‘규제’나 ‘평준화 정책’ 같은 비
시장적 질서였다. 한편, 교육정보공개법안의 표방된 정책 목표는 ‘국민의 알 권리 보장’, ‘학
생의 학습권 신장’, ‘교육격차의 해소’ 등과 같이 공공선의 언어로 진술되어 있었다. 이러한
정책 목표들은 실제로는 부차적인 성격의 정책 목표이거나 ‘학교선택권’의 신장, ‘경쟁을 통
한 학업성취도 격차의 해소’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국 맥락적 정책 목표와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려진 교육 정책 목표’의 존재와 교육 정책의 결정 과정에
사용되는 언어 전략의 유효함을 보여준다. 교육정보공개법의 제정은 규제 완화, 선택권 확
대, 정보흐름 활성화라는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 기본 구조의 완성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
러나 신자유주의 이념을 교육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한 재고가 필요하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licy goal of the Education Information Posting
Act (EIPA)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an educational policy is considered as specific
solution for specific educational problem that policy makers recognized from particular point of
view.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licy goals in the context of policy prod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sidering the bills accompanied by EIPA and preceding
discourses, substantial goal of EIPA bill was disclosure of school achievement for inducing
school competition. The claimed goals were articulated in the language of general public good
such as ‘right to know’, ‘right to learn’, ‘elimination of education gap’ etc. However the real
meanings of these claimed goals have a thread of connetion with the substantial goal.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he existence of ‘hidden educational policy goal’ and the
importance of linguistic strategies in the policy process.
The passage of EIPA implies that basic structure of neo-liberal educational reform, including
deregulation, expanded right of choice, and active flow of information is completed.
Nevertheless, to apply neoliberal principles to educational reform should be carefully
reconsidered because it can lead to side effects much more than positive effect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교육정보공개법의 정책 목표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