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의 학습자 ‘언어’에 대한 탐색적 논의: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01
2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50권
저자명 : 이은영

목차

I. 서론
II.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의 ‘언어’에 대한 탐색
III.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언어’의 본성
Ⅳ. ‘언어’에 대한 현상학적 관점이 미술교육에 주는 함축성
V.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교육 비평 활동에서 학습자가 생산하는 ‘언어’의 본성에 관해 메를로-
퐁티의 철학적 관점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시각문화미술교육은 시각문화에 관한 학습자의
비판적 이해와 의미 형성에 주목하고 여기에 드러나는 학습자의 언어적 비평과 해석을 탐구
해왔지만, ‘언어’ 그 자체의 성격 탐색에는 큰 의문을 두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교
육에서 다루는 학습자의 ‘언어’가 이성적, 위계적인 분석 내용들을 종합하여 진행할 것이 아니
라 학습자의 비언어적 측면, 정서, 감각, 사회적, 문화적 차원과 같은 질적인 계기를 포함해야
진정한 언어적 의미 형성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살 존재론을 기반으로 몸 현상학
을 펼친 메를로-퐁티의 관점을 통해 언어란 하나의 기호와 의미가 정확히 대응되거나 환원되
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둘러싼 간접적인 언어, 발화되고 있는 파롤, 말해지지 않은 침묵의 배
경 모두가 언어의 의미를 생성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의 언어적 활동이 시각문화에 관한 학습자의 언어에 접합
된 학습자 몸의 감각, 학습자가 생성해내는 파롤, 언어 분석 결과가 아닌 의미 생성 과정 전
반에 초점을 두는 쪽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시각문화미
술교육이 의도한 의미의 중층성과 질적인 측면을 성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learner’s
language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the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recent times, language is becoming a more
important element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especially in critical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nd flesh(la chair)
ontology of Merleau-Ponty, meaning making through the learner’s language is not
simply summarized from each stage of the linear critical analysis model, but
established by interaction among lots of body senses and feelings, speechless
parole, etc. On taking these aspects, the writer suggests three kinds of direction to
the learner’s critical analysis and communication using languag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t is focused on the body senses in the learner’s language, learner’s
various parole, whole process and text(pre text, text, post text) of building of
meaning making through the language. These kind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might form a genuine eye that will make a learner create his/her own meaning
and realize deeply how to understand the visual culture in his/her lif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의 학습자 ‘언어’에 대한 탐색적 논의: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