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조선후기 大芚寺 현창 운동과 그 의미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1.01
2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수록지정보 : 동국사학 / 50권
저자명 : 이종수

목차

Ⅰ. 서론
Ⅱ. 寶藏錄과 서산대사 遺意
Ⅲ. 『대둔사지』 편찬과 그 의도
Ⅳ. 결론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조선후기 불교계의 자생적인 활동 양상에서 가장 두드러진 모습을 보이고 있는 지역은 호남지역이다. 17세기 이후 호남지역에 다수의 고승들이 출현하면서 새로운 분위기를 주도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사찰이 대흥사다. 대흥사는 임진왜란 이후 청허계의 편양파와 소요파가 정착한 곳으로 많은 훌륭한 禪師와 講師들이 배출되었다.
대흥사 현창 운동은 18세기 말에 본격화된다. 그 시발은 戒洪이 1777년에 西山大師碑를 재건하면서부터 시작된다. 그런데 그 서산대사비의 碑文 가운데 일부가 조작되면서 서산대사와 대흥사의 인연이 강조되었던 것 같다. 그 후 계홍이 1786년에 서산대사의 遺意가 기록된 「寶藏錄」을 발견하였는데, 그 내용 가운데는 ``서산대사가 대둔사는 宗統이 돌아갈 곳이므로 衣鉢을 전수하도록 했다``는 내용이 있었다. 이에 대흥사 승려들은 1788년에 「보장록」의 내용을 조정에 보고하면서 대흥사 境內에 서산대사의 忠義를 기리는 표충사 건립을 요청하였고, 그 해에 국가로부터 公認되었다. 그러나 「보장록」은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9세기 초 『大芚寺志』 편찬자들은 「보장록」의 오류를 지적하면서도 서산대사 遺意를 강조하고 12宗師와 12講師의 계보를 확립하면서 대흥사가 팔도의 宗院임을 표방하였다. 이것은 아마도 당시 경쟁 관계에 있던 송광사가 僧寶寺刹로 인식되고 있었던 것에 자극을 받았던 것 같다. 그리고 당시 대흥사 승려들의 자신감이 표출된 것으로 18세기 이후 불교계의 중심 활동 지역이 전라도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초록

Honam area was where the mainstream restorative activity of Buddhist society was perform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Since 17th century, numbers of Buddhist dignitaries were turned out from Buddhist temples in the area. Daeheung Temple (a.k.a. Daedun Temple) was the representative one among those temples. The Pyeonyang faction and the Soyo faction of the Cheongheo line settled down in the temple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in 1592, and the temple had produced a large number of zen and doctrinal preceptors.
The glorifying movement of Daeheung Temple picked up pace at around the end of 18th century. Gyehong`s restoration of the epitaph of Master Seosan in 1777 ignited the movement. But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content of the epitaph was fabricated in order to st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le and Master Seosan. In 1786, Gyehong found a book titled Bojangrok in which Master Seosan`s testament is included. The testament says that the master had his disciples to pass down his ceremonial cape and bowl (as a symbol of the dharma) to future generations in the temple since it was where the orthodoxy of the sect will be conserved. Priests of the temple, therefore, reported this discovery to the government in 1788 and requested a permission for the establishment of Master Seosan`s memorial shrine in the temple precincts. Though the shrine was accredited by the government, there are still some suspicions of possible fabrication of the book.
In the early 19th century, compilers of Daedunsaji (the history of Daeheung Temple) pointed out some errors of Bojangrok, however, they still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Master Seosan`s testament. Therefore, they established the lineage of 12 representative zen preceptors and 12 doctrinal preceptors of the sect and claimed that Daeheung Temple was the orthodox monastery of the country. This action must have been stimulated by the fact that their rival Songgwang Temple was recognized as 'the sangha jewel temple' at the time. And it could also have been derived from those priests` pride in their temple. These facts elucidated above show us that Jeola province became the center of Buddhist activities at around 18thcentur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조선후기 大芚寺 현창 운동과 그 의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